1. 2023년 공시지가 (공동주택 등)
가. 발췌취지
□ 2023년 개별공시지가 열람 및 의견접수가 시작되었습니다. 대폭인하라고 언론에서도 보도되고 있고요. 실제로 조회해 보니 대폭인하가 맞습니다.
□ 2022년 공동주택 공시가격 인상률이 17% 였는데요. 2023년은 평균 18% 인하하겠다고 합니다. 즉 2021년 수준으로 환원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아파트 가격이 실제로 하락한 점과 시세반영률을 낮추었기 때문입니다.
□ 오늘은 공시지가가 과연 얼마 정도 인하되었는지 실제 사례로 확인해 보고요. 공동주택 공시지가 하락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나. 공시지가 조회 사이트
[공지시가 조회사이트: https://www.realtyprice.kr/]
https://www.realtyprice.kr/notice/
www.realtyprice.kr
다. 실제 사례로 살펴본 2023년 공시지가 인하
▼
★ 실제로 제 사례를 조회해 보니 2022년에 비해 2023년 공시지가가 36.7% 인하가 되었습니다.
2. 공시지가가 미치는 영향
가. 공시가격 인하가 미치는 영향
□ 보유세, 종합부동산세 뿐만 아니라 60개 넘는 각종 행정에서 기준으로 활용되고, 특히 지역건강보험 보험료, 국민주택채권매입액 등이 감소하게 돼 국민 부담이 줄어든다”며 “기초생활보장제도, 국가장학금, 근로 및 자녀장려금, 기초연금 산정 등 재산가액 하락에 따라 수혜 대상에서 탈락했던 사람들이 다시 포함되거나 기존 수혜자의 혜택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재산세보다는 종합부동산세가 더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 고가아파트일수록 그 수혜폭이 대폭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획재정부] 2023년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공제액 상향
[기획재정부] 2023년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공제액 상향
2023년 종부세 완화 합의(여ㆍ야) 최근 여야간에 종부세에 대한 여야간 합의가 있었다는 기쁜 소식이 있습니다. [출처: 다음뉴스] 오늘은 이에 대해서 말씀 드릴까 합니다. 1. 2023년 종합부동산세
jgdam.tistory.com
나. 공정시장가액비율 인하 영향
□ 공정시장가액비율: 공시지가의 몇%를 보유세와 종부세의 과세기준으로 삼는 비율 의미
□ 2022년에 보유세(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은 60% → 45% 인하 적용 중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공단] 2023년 공시지가 18.6% 하락 → 기초연금 탈락자가 재신청 해야하는 이유 (0) | 2023.03.26 |
---|---|
[국세청] 퇴직금 중간정산 후 퇴직 시 퇴직소득세 계산방법(퇴직소득정산특례 제도) (0) | 2023.03.25 |
사적연금 1200만원 초과해도 분리과세 가능 및 효과 분석 (0) | 2023.03.23 |
[경찰청] 교차로 우회전 아직도 헷갈리시나요? 그림으로 한방 정리 (0) | 2023.03.21 |
기초연금 탈락,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기초연금 감액 등 문의처 (a~z) (0) | 2023.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