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3년 공시지가 평균 18.6% 하락
가. 발췌 취지
□ 2023년 공시지가가 평균 18.6% 하락되었습니다. 공시지가는 60여 복지사업 부여할 때 그 기준점으로 적용되고 있고요. 무엇보다도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재산 산정, 기초연금 신청 시 소득인정액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2022년에는 공시지가가 평균 17.2% 상승하였습니다. 이로 인해서 기초연금 신청해서 탈락하신 분들도 제법 있으실 겁니다. 그런데 2023년에는 공시지가가 18.6% 하락과 더불어 소득인정액 금액도 증가하였기 때문에 기초연금 한번 탈락하셨더라도 재신청해야 하는 이유로 작용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가. 최근 공시지가 증감 추이
구분 | 2022년 | 2023년 |
공시지가 | 평균 17.2% 상승 | 평균 18.6% 하락 |
▼
2022년 재산기준으로 기초연금에 탈락하신 분들은 2023년 공시지가 상승은 기초연금 재신청 절호의 기회입니다.
나. 공시가격 하락이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에 미치는 영향
[ ※ 참고: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
-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
구분 | 2023년 소득인정액 |
단독가구 | 202만원 |
부부가구 | 323.2만원 |
※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P값 (고급자동차 및 고급회원권)
[※ 참고: 소득인정액 산정식]
[ (일반재산(시가표준액) - 지역별 공제액) + (금융재산 - 2천만원 공제 - 부채)] X 소득환산률 4% / 12개월 + P값 (고급자동차 및 회원권의 가액) = 소득인정액(월) |
※ 지역별 공제액: 대도시(135백만 원) ~ 중소도시(85백만 원) ~ 농어촌(72.5백만 원)
▼
★ 그러면, 2023년 지역별 주택공시가격 하락이 소득인정액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
■ 평균 공시지가 증감 추이(22년 → 23년)
구분 | 전국 | 서울 | 경기 |
2022년 | 300백만원 | 606백만원 | 332백만원 |
2023년 | 245백만원 | 498백만원 | 259백만원 |
감소금액 | - 65백만원 | -108백만원 | - 73백만원 |
▼ | ▼ | ▼ | ▼ |
소득인정액 감소금액 | - 216천원 | - 360천원 | - 243천원 |
※ 지역별로 평균 공시지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이번 공시지가 하락으로 소득인정액 산정 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위 표상 수치로 바로 확인이 가능할 것입니다. 기초연금 신청하셔서 탈락하신 분들이라도 다시 재 신청해야 되는 중요한 이유인 것입니다.
다. 공시지가 하락 → 기초연금 적용기간
구분 | 기초연금 적용시기 |
2022년 공시가격 | `22년 11월 ~ `23년 10월 |
2023년 공시가격 | `23년 11월 ~ `24년 10월 |
2. 신청자 소득인정액 산정내역 확인
가. 신청자 소득인정액 확인: 군청, 구청, 시청 기초연금 담당부서
나. 공시가격 확인
□ 공시지가 대상물건: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 다세대, 일반건축물, 토지 등
□ 확인하는 곳: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www.realtyprice.kr/
□ 확인시기: 매년 5월
그동안 매년 공시가격 상승으로 기초연금에 탈락하신 분들은 군청, 구청, 시청에서 본인의 소득인정액 산정내역을 확인하시고 반드시 재신청하셔서 조금이라도 혜택을 받아보시길 권유합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공단] 요양병원 장기입원환자 본인부담상한액 70% 대폭 인상 (0) | 2023.03.29 |
---|---|
[서울시] 70세 이상 운전면허 자진반납 → 10만원 교통카드 지급 (0) | 2023.03.27 |
[국세청] 퇴직금 중간정산 후 퇴직 시 퇴직소득세 계산방법(퇴직소득정산특례 제도) (0) | 2023.03.25 |
[국토부] 2023년 공시지가 인하 및 미치는 영향 분석 (0) | 2023.03.23 |
사적연금 1200만원 초과해도 분리과세 가능 및 효과 분석 (0) | 2023.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