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국민연금공단] 2023년 공시지가 18.6% 하락 → 기초연금 탈락자가 재신청 해야하는 이유

by 자그담 2023. 3. 26.
반응형

1. 2023년 공시지가 평균 18.6% 하락

 

  가. 발췌 취지

 

    □ 2023년 공시지가가 평균 18.6% 하락되었습니다. 공시지가는 60여 복지사업 부여할 때 그 기준점으로 적용되고 있고요. 무엇보다도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재산 산정, 기초연금 신청 시 소득인정액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2022년에는 공시지가가 평균 17.2% 상승하였습니다. 이로 인해서 기초연금 신청해서 탈락하신 분들도 제법 있으실 겁니다.  그런데 2023년에는 공시지가가 18.6% 하락과 더불어 소득인정액 금액도 증가하였기 때문에 기초연금 한번 탈락하셨더라도 재신청해야 하는 이유로 작용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가. 최근 공시지가 증감 추이

 

구분 2022년 2023년
공시지가 평균 17.2% 상승 평균 18.6% 하락

 

 

2022년 재산기준으로 기초연금에 탈락하신 분들은 2023년 공시지가 상승은 기초연금 재신청 절호의 기회입니다.

 

 

  나. 공시가격 하락이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에 미치는 영향

 

 

  [ ※ 참고: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

   -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

 

구분 2023년 소득인정액
단독가구 202만원
부부가구 323.2만원

※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P값 (고급자동차 및 고급회원권)

 

 

  [※ 참고: 소득인정액 산정식]

 


[ (일반재산(시가표준액) - 지역별 공제액) + (금융재산 - 2천만원 공제 - 부채)]


X

소득환산률 4% / 12개월 +    P값 (고급자동차 및 회원권의 가액) 


= 소득인정액(월)

※ 지역별 공제액: 대도시(135백만 원) ~ 중소도시(85백만 원) ~ 농어촌(72.5백만 원)

 

 

★ 그러면, 2023년 지역별 주택공시가격 하락이 소득인정액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반응형

 

 

  ■ 평균 공시지가 증감 추이(22년 → 23년)

 

구분 전국 서울 경기
2022년 300백만원 606백만원 332백만원
2023년 245백만원 498백만원 259백만원
감소금액 - 65백만원 -108백만원 - 73백만원
소득인정액 감소금액 - 216천원 - 360천원 - 243천원

※ 지역별로 평균 공시지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이번 공시지가 하락으로 소득인정액 산정 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위 표상 수치로 바로 확인이 가능할 것입니다. 기초연금 신청하셔서 탈락하신 분들이라도 다시 재 신청해야 되는 중요한 이유인 것입니다.

 

 

  다. 공시지가 하락 → 기초연금 적용기간

 

구분 기초연금 적용시기
2022년 공시가격 `22년 11월 ~ `23년 10월 
2023년 공시가격 `23년 11월 ~ `24년 10월 

 

 

2. 신청자 소득인정액 산정내역 확인

 

  가. 신청자 소득인정액 확인: 군청, 구청, 시청 기초연금 담당부서

 

 

  나. 공시가격 확인

 

      □ 공시지가 대상물건: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 다세대, 일반건축물, 토지 등

 

      □ 확인하는 곳: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www.realtyprice.kr/

 

      □ 확인시기: 매년 5월

 

 

그동안 매년 공시가격 상승으로 기초연금에 탈락하신 분들은 군청, 구청, 시청에서 본인의 소득인정액 산정내역을 확인하시고 반드시 재신청하셔서 조금이라도 혜택을 받아보시길 권유합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