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중교통 할인카드 K-PASS
가. K PASS란
■ 대중교통 활성화 및 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해 걷거나 이동한 거리에 관계없이 이용한 대중교통비의 일정비율(20~53%)을 환급해 주는 사업
구분 | 적립률 | 예:2000원 기준 |
일반 | 20% | 400원 |
청년 | 30% | 600원 |
저소득 | 53% | 1,070원 |
※ 청년: 「청년기본법」에 따른 만 19~34세 (경기, 인천의 경우 만 19~39세까지 청년으로 인정)
※ 저소득층: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 단, 대중교통 이용요금 월 20만 원까지는 이용요금으로 전액 인정되나, 20만 원을 초과하여 이용하는 경우 이용 요금의 50%만 인정하여 환급됨
나. K PASS 환급금 수령 조건
■ ① 만 19세 이상 & ②K-패스 참여 지자체에 거주하는 주민 중 ③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사람은 환급받을 수 있음
● 나이: 만 19세 이상 성인에 한해서만 지원(어린이·청소년 미해당)
● 거주지: K-패스에 참여하고 있는 189개 시·군·구 주민 이용 가능: 서울(25), 경기(31), 인천(10), 대전(5), 세종, 충북(11), 충남(15), 광주(5), 전북(6), 전남(10), 부산(16), 대구(9), 울산(5), 경북(10), 경남(18), 강원(10), 제주(2)
● 횟수: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 환급 가능하며, 최대 60회까지 환급(60회 이상 이용한 경우 높은 금액 순으로 환급)
☞ 회원가입 첫 달의 경우, 월 15회 미만 이용 시에도 환급 가능
☞ 경기도민, 인천시민의 경우 지자체의 자체적인 추가 혜택에 따라 60회 초과분까지도 지원
다. K PASS(케이패스) 혜택 교통수단
■ K-패스는 전국 지하철·광역버스·시내버스·마을버스·GTX 등 적용
☞ 별도 승차권을 발권해야 하는 고속·시외버스, 공항버스, KTX·SRT 등에는 미적용
■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외에서 대중교통을 이용 시: K-패스 회원이라면 회원의 거주지 외 전국 어디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더라도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음
라. K PASS 신청 및 이용방법
■ K-패스 이용 방법: K-패스 전용 카드(신용, 체크, 선불형 교통카드) 발급 후 회원가입만 하면 대중교통 이용 시 추가적인 절차 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음
■ 회원가입은 “K-패스” 앱(App)(한국교통안전공단 배포) 또는 누리집 (korea-pass.kr)에서 가능
■ K-PASS 카드 발급 및 K-패스 전용 카드는 총 23개로, 총 10개의 카드사에서 발급 중: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이동의 즐거움, DGB유페이
● K-PASS 후불카드: 일반적인 신용·체크카드로 카드사 앱·누리집에서 발급 가능하며, 일부 카드사(신한, 국민, 농협, 우리, 하나 등)는 은행에서도 발급 가능
● K-PASS 선불카드: 모바일 앱(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iM원패스)에서 모바일 선불카드를 발급받거나 편의점, 인터넷(캐시비샵), 지하철 역사(대구 지역) 등에서 실물형 선불카드 발급 가능
■ 실물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여부: 안드로이드 이용자의 경우, 모바일형 선불카드를 발급받거나 실물 카드를 모바일페이(삼성페이 등)에 등록해 이용 가능(아이폰 이용자는 불가)
● 모바일선불: K-패스 선불카드를 발급하는 모바일 앱(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iM원패스)에서 모바일 선불카드를 발급해 이용 가능
● 모바일페이: 후불교통카드(신용·체크카드)에 한해 모바일페이(삼성 페이, 페이코, NH페이, BC페이북 등)에 등록하여 이용 가능
마. K PASS 적립 확인 및 환급금 입금시기
■ K-PASS 적립금 확인: 영업일 기준 최소 2~3일 후, 최대 14일 이후(모바일 페이로 이용한 경우) 적립 내역 확인 가능
■ K-PASS 환급금: 대중교통을 이용한 다음 달 영업일 5일에 카드사로 지급 요청되며, 이용자에게 실제 지급되는 날은 카드사별
■ K-PASS 외국인 이용 가능여부: 외국인 등록번호가 있는 외국인에 한해 회원가입 가능
☞ 회원가입 시 주민등록번호 대신 외국인 등록번호를 입력해 가입 가능
■ K-PASS앱: 애플 앱스토어 혹은 구글 플레이스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바. K PASS(케이패스)와 지자체의 다른 교통할인카드와 차이점
■ 기후동행카드: 사전결제형 무제한 정액권 방식으로 서울 시내 전철(김포골드라인 등 일부 서울시계 외 전철 적용), 서울시 면허버스, 따릉이 등에 적용 가능
● 일반 따릉이 포함 시 6.5만 원(제외 시 6.2만 원) (만 19세~39세 청년) 따릉이 포함 시 5.8만 원(제외 시 5.5만 원)
● 주로 서울시 안에서 전철이나 버스를 빈번하게 이용하는 사람의 경우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한 반면
● 서울↔경기·인천 등 광역 통행자나 GTX·광역버스 이용자의 경우 전국 지하철·버스·GTX 등 다양한 교통수단에 적용되는 K-패스 이용이 유리
■ The경기패스·I-패스: K-패스 혜택을 기반으로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사업
● K-패스(청년층 만 19세~만 34세)와 달리 만 39세까지 청년 혜택을 제공받으며, 60회를 초과하는 이용 건에 대해서도 환급받을 수 있음
● 경기도의 The경기패스, 인천의 I-패스는 K-패스의 일종으로, 경기도민이나 인천시민은 K-패스 카드를 발급받아 회원가입만 하면 지자체 추가 혜택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음
● 60회 초과분에 대해서도 혜택 적용, 청년 범위 확대(만 19~34세 → 만 19~39세)
정부차원 또는 지자체 차원에서 대중교통 할인 카드를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각자 처한 상황에서 가장 유리한 방식을 선택하여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찰청] 65세 이상 조건부 면허제 도입 검토 ← 운전능력 평가 후 (0) | 2024.05.27 |
---|---|
[여성가족부] 사획복지사, 요양보호사 자격증 보유 시 → 아이돌봄서비스 제공 가능 (0) | 2024.05.22 |
[국민연금공단] 평생 낸 국민연금 못 받는 경우(a~z) (0) | 2024.05.20 |
[국민연금공단] 노령연금 200만원 수급자 본격 시작 ← 숨겨진 문제점 (0) | 2024.05.16 |
[건강보험공단]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feat: 소득, 부부합산 여부) (0) | 2024.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