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초연금 수급자격
가. 기초연금 수급자격
■ 잘 아시다시피 기초연금 수급자격은 만 65세 이상이고, 소득하위 70% 이내 & 대한민국 국적자이면서 국내에 거주해야 기초연금 수급대상자가 됩니다.
■ 많은 분들이 기초연금 수령 중에 근로소득이 발생하면 기초연금에 탈락하거나 기초연금액이 줄어들 수 있는 점을 우려하시고 계시는데요. 기초연금 수급 시에 근로소득은 생각보도 공제액이 많습니다.
■ 현실적으로 만 65세 이상이 근로를 했을 때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근로소득이 크게 많지는 않은 게 현실이기도 하고요.
■ 기초연금 수급 시에 근로소득 발생이 기초연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나. 기초연금 수급 시 근로소득이 미치는 영향
■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 시 근로소득 공제: 기본공제액 108만 원 + 기본 공제 후 남은 잔액 추가 30% 공제
■ 근로소득 소득인정액 계산 예시
급여 | 소득인정액 계산식 | 소득인정액 |
108만 원 | 108만 원 - 108만 원(기본공제액) | 0원 |
150만 원 | 150만 원-108만 원= 42만 원 → 42만 원 × 70% |
29.4만 원 |
200만 원 | 200만 원-108만 원= 92만 원 → 92만 원 × 70% |
64.4만 원 |
250만 원 | 250만 원-108만 원 = 142만 원 → 142만 원 × 70% |
99.4만 원 |
300만 원 | 300만 원-108만 원 = 192만 원 → 192만 원 × 70% |
134.4만 원 |
▲▼
[ ※ 참고: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
구분 | 소득인정액(기초연금 선정기준액) |
단독 가구 | 202만 원 |
부부 가구 | 323.2만 원 |
■ 기초연금을 수급 중이더라도 급여를 200만 원 받더라도 기초연금에 반영되는 소득인정액 값은(위 표 참고) 64.4만 원 밖에 하지 않습니다.
● 단독가구: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202만 원 ≥ 근로소득 200만 원 소득인정액 값 64.4만 원으로 다른 재산 소득인정액 137.6만 원의 여유가 남습니다.
● 부부가구: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323.2만 원 ≥ 근로소득 200만 원 소득인정액 값 64.4만 원으로 다른 재산 소득인정액 258.8만 원의 여유가 남습니다.
★ 65세 넘어서 근로소득 200만 원대라면 현실적인 수치라고 여겨지는데요. 일하면서 월급도 받고 기초연금도 받아서 탄탄한 노후 생활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근로소득이라는 한 가지 항목만 전제로 계산했지만, 근로소득은 기본공제액이 다른 소득항목에 비해서 절대적으로 크기 때문입니다.
■ 정규직이 아닌 일용직으로 일을 한다면 일용직의 경우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소득항목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 기억하셨으면 합니다.
다.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 제외 근로소득 항목
■ 일용직 근로자 소득(소득세법 시행령 20조): 일용근로자, 건설공사 종사자, 하역(항만) 작업
■ 공공일자리 소득: 노인일자리 사업, 공공근로, 장애인 일자리 사업 등
■ 자활근로 소득: 자활근로, 자활공공근로, 적응훈련, 직업훈련 등
라. 기초연금 수급 시 재산증가가 불리하지 않는 경우
■ 소득인정액이 낮은 경우에 재산 증가도 기초연금 수급에는 큰 영향이 없습니다. 아래에 재산 증가 시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에 얼마나 반영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재산액에 따른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반영수치
기초연금 재산 소득인정액 산출식 = 재산액 × 4% ÷ 12개월 |
※ 지역별 재산 기본 공제액: 대도시(135백만 원), 중소도시(85백만 원), 농어촌(72.5백만 원) |
● 재산 1억 원 소득인정액: 1억 원 × 4% ÷ 12개월 = 333천 원
● 재산 2억 원 소득인정액: 2억 원 × 4% ÷ 12개월 = 666천 원
● 재산 3억 원 소득인정액: 3억 원 × 4% ÷ 12개월 = 999천 원
● 재산 4억 원 소득인정액: 4억 원 × 4% ÷ 12개월 = 1,333천 원
● 재산 5억 원 소득인정액: 5억 원 × 4% ÷ 12개월 = 1,666천 원
● 재산 6억 원 소득인정액: 6억 원 × 4% ÷ 12개월 = 1,999천 원
● 재산 7억 원 소득인정액: 7억 원 × 4% ÷ 12개월 = 2,333천 원
★ Key Point: 위 재산가액(공시지가)에서 거주지 지역별 기본재산 공제액을 제외하고 계산하여야 합니다.
▼
마. 소득인정액 금액별 기초연금 수령액 계산
■ 기초연금 선정기준 금액별 기초연금 수령액 계산 사례
단독가구 기준 | 부부가구 기준 | |||
202만 원 초과 시 기초연금 탈락 | 323.2만원 초과 시 기초연금 탈락 | |||
▼ | ▼ | ▼ | ▼ | |
산출 소득인정액 | 기초연금 수급액 | 산출 소득인정액 | 기초연금 수급액 | |
2,020천 원 | 32,310원 | 3,232천 원 | 64,620원 | |
1,900천 원 | 120천 원 | 3,000천 원 | 232,000원 | |
1,800천 원 | 220천 원 | 2,800천 원 | 432천 원 | |
1,676,820원 | 323,180원 | 2,714,920원 | 517,080원 | |
1,500천 원 | 323,180원 | 2,500천 원 | 517,080원 | |
▲ | ▲ | |||
단독가구 기초연금 수령 가능 최대금액: 323,180원 | 단독가구 기초연금 수령 가능 최대금액 : 517,080원 |
★ 한마디로 소득인정액 산출값이 단독가구는 1,676,820원일 때 최대로 기초연금액을 수령하고 부부가구는 2,714,920원 이하부터 최대 수령액을 수령한단 의미입니다.
★ 2027년에는 기초연금 40만 원 시대가 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초연금 40만 원 시기가 오면 부부가구의 경우 최대 수령가능액이 매월 64만 원이 되고 지금까지처럼 매년 물가인상률만큼 반영된다고 가정해 보면 결코 작은 돈이 아닙니다.
★ 내 돈 한 푼도 안 들이면서 평생 기초연금을 받는다고 가정해 보면 이보다 더 좋은 금융상품은 없다고 자부합니다. 여기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기초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초연금 산정하는 방식과 항목을 정확히 아셔야 하고 그리고, 미리 준비를 하여야 한다는 점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기초연금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제 블로그를 추가적으로 검색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2. 기초연금 모의계산 바로가기: 복지로 사이트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공단] 노인 장기요양 보험의 모든 것(a~z) (0) | 2023.11.07 |
---|---|
[건강보험공단] 퇴직자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줄이는 tip (0) | 2023.11.06 |
[보건복지부] 2024년 장기요양보험요율 인상: 12.81% → 12.95% (1) | 2023.11.03 |
[국민연금공단] 2024년 노령연금 감액 폐지 & 기초연금 국민연금 연계감액 폐지 (1) | 2023.11.02 |
[고용 보험] 실업급여 신청방법 → 일용직 피보험단위기간 산정하는법 (0) | 2023.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