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지자체별 농민수당 지급 현황
가. 발췌 취지
■ 최근 농민수당을 지급하는 지자체가 느는 추세에 있습니다.
■ 2023년 4월 기준으로 농민수당을 지급해 주는 지자체 현황 및 농민수당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나. 농민수당의 다른 명칭
■ 지자체별 명칭: 농어업인 공익수당, 농어민수당, 농업인수당, 농민공익수당, 농민기본소득, 농어업인수당, 농업인 공익수당 등
다. 지자체별 농민수당 지급 현황(`23.4월 현재)
지자체 | 지원금 | 지자체 | 지원금 |
서울 | X | 경기 | 60만원 (기본소득) |
부산 | X | 강원 | 70만원 |
대구 | X | 충북 | 60만원 |
인천 | X | 충남 | 80만원 |
광주 | 60만원 | 전북 | 60만원 |
대전 | X | 전남 | 60만원 |
울산 | 60만원 | 경북 | 60만원 |
세종 | 현재 미정 | 경남 | 30만원 (공동시 60만원) |
제주 | 40만원 |
※ 광주, 울산, 세종은 2023년 첫 지급개시 예정
※ 광주광역시는 23년 하반기 지급예정 → 해당 읍ㆍ면ㆍ동 확인 필요
반응형
2. 지자체 농민수당 지급 방법
가. 지급방법
구분 | 지급개시연도 | 농민수당 지급방법 |
경기도 | 2021년 | 지역화폐 |
강원도 | 2021년 | 선불카드 or 지역상품권 |
충북 | 2022년 | 지역화폐 or 지역상품권 |
충남 | 2020년 | 지역화폐 |
전북 | 2020년 | 지역화폐 |
전남 | 2020년 | 지역화폐 |
경북 | 2022년 | 지역화폐(지역사랑 상품권) |
경남 | 2022년 | 지역화폐 or 농업채움카드 |
제 | 2022년 | 지역화폐(탐나는 전 카드충전) |
나. 농민수당 지급 조건
■ 농ㆍ어ㆍ임업 경영체 등록, 해당지역 거주기간, 농업경영 기간, 농업 소득 3,700만 원 이하 등 지자체별로 조건이 다소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사전 읍면동사무에 사전 문의 필수입니다.
■ 농민수당 신청은 대개 년초 등 1분기 내에 하는 곳이 대부분이오니 이점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분할연금 100% 다 받는 방법 (2) | 2023.04.17 |
---|---|
[보건복지부] 장기요양기관 CCTV 설치 의무화 (2023.6.22부터) (0) | 2023.04.16 |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상실 결정하는 소득요건에 대한 모든 것 (a~z) (0) | 2023.04.14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종합과세 여부 및 소득공제내역 (0) | 2023.04.13 |
[연금공단] 국민연금 조기수령 vs. 국민연금 연기수령 선택는? (0) | 2023.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