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 상승으로 일반가구의 이자부담이 상당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고금리 시기에 서민이나 실수요자의 금리부 담을 덜고 내 집마련을 돕기 위해 약 37조 규모의 특례보금자리론 상품을 출시를 했는데요. 그 인기가 굉장히 높은 것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이 특례보금자리론의 가장 큰 혜택은 고정금리로 요즘처럼 하루가 멀다 하고 오르는 이자율을 감안한다면 큰 메리트임에 분명합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 특례보금자리론(1년 한시 운영)
가. 특례보금자리론 자격 요건
구분 | 내용 |
지원대상 | ● 9억원 이하 주택 대상 ☞ 주택가격 기준: KB시세 → 한국부동산원 시세 → 주택공시가격 → 감정평가액 순으로 적용 |
소득기준 | ● 소득제한 없음 |
대출가능 금액 | ● 최대 5억까지 |
자금 사용 용도 | ① 주택구입용도 ② 기존대출 상환용도 ③ 임차보증금 반환인 보전용도 |
주택 보유 수 제한 | ● 1주택자나 무주택자 ☞ 일시적 2주택자도 2년이내 기존주택을 처분하는 조건으로 신청 가능 |
대출만기 | 10년, 15년, 20년, 30년, 40년, 50년 |
※ 본 상품은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
먼저 용어정리부터 해보자면,
용어정리 | |
LTV(Loan To value ratio) 담보인정비율 |
● 정의: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산출된 LTV에 따라 대출금 승인 ☞ 지역에 따라 40% ~ 70% 적용 ● LTV계산식: (대출금액 + 선순위 채권 + 임차보증금 등) / 담보가치 [계산 사례] ◆ LTV 40%, kb시세: 5억, 임차보증금 1억 있는 Apt일때 대출 가능금액은? = [ 5억(KB시세) - 1억(보증금) ] X 40% = 1억 6천만원 대출가능 |
DTI(Debt to income) 총부채상환비율 |
● 채무 상가능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본인의 소득을 기준으로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 ● DTI 계산식: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대출 이자상환액 + 기대출 원리금 상환액) / 연간소득 [계산 사례] DTI 적용율이 50%이고 본인연소득이 6천만원이라면 연간 3천만원 이내로 원리금 등 상환액이 되면 된다는 의미입니다. |
DSR(Debt service ratio)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 |
● 대출자가 가진 주택담보원리금 이외에도 신용대출, 자동차할부 등 모든 대출금의 원리금 상환이 연소득의 일정비율을 넘지 못하게 하는 규정임. ● DSR계산식: [((주택담보대출 원리금상환(원금+이자) + 기타부채원리금상환액(원금+이자) /연간소 |
나. 특례보금자리론 LTV ㆍ DTI 적용방안
구분 | LTV | DTI | |
규제지역외 지역(실 수요자) | 아파트 | 70% | 60% |
기타주택 | 65% | ||
규제지역 | 아파트 | 60% | 50% |
기타주택 | 55% |
※ 단 생애최초 주택구입: 지역, 주택유형 구별 없이 LTV 80%, DTI 60% 적용
※ DSR은 미적용
※ 디딤돌 대출을 제외한 모든 기존대출을 특례보금자리론으로 대체 가능 ☞ 중도상환수수료 면제
▼
★ 가장 중요한 점이 금리이겠죠? 특례보금자리론 대출금리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특례보금자리론 대출금리
가. 대출금리
구분 | 10년 | 15년 | 20년 | 30년 | 40년 | 50년 |
우대형 ○ 주택가격 6억이하 & 부부합산소득 1억 이하 |
4.65% | 4.75% | 4.80% | 4.85% | 4.90% | 4.95% |
일반형 ○ 주택가격6억 이상 or 부부합산소득 1억 이상 |
4.75% | 4.85% | 4.90% | 4.95% | 5.00% | 5.05% |
※ 우대금리 적용: 아낌 e, 기타(저소득청년, 사회적 배려층, 신혼가구, 미분양주택 ☞ 중복혜택 가능, 최대 0.8% 인하 가능으로 최대 3.75% ~ 4.05%까지 적용금리 가능
나. 특례보금자리론 신청방법
♣ 인터넷: 한국주택금융공사 ( https://www.hf.go.kr/)
☎ 1688-8114
♣ 스마트주택 금융
현재 높은 금리로 주택 담보대출을 받고 계시는 분들은 신청해 보시기 바라며, 재원이 39조 6천억 원이나 인기가 많아 금세 소진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서두르시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공무원 연금 등의 유족연금 알아보기 (a~z) (0) | 2023.02.14 |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이 피부양자 자격과 기초연금에 미치는 영향 분석 (0) | 2023.02.13 |
부동산증여 취득세 과세표준 기준 변경이 미치는 영향(시가표준액 → 시가인정액) (0) | 2023.02.07 |
[국민연금공단] 2023년도 기초연금 → 소득인정액 항목별 최대 기초연금 수령액 산정 (1) | 2023.02.05 |
택시요금 인상 및 2023년 개인택시 자격 요건 (0)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