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선택은 언제나 고민되는 사항입니다.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는 이자 산출방식에 따라 구분되는데요. 때문에 두 가지 금리방식에 대한 기본개념과 차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서 말씀드립니다.
1. 대출 금리 계산방법
가. 금리 계산방법
■ 대출금리 계산방법(기본적 계산): ① 기준금리 + ② 가산금리 - ③ 가감조정금리로 기본적으로 대출금리를 산정합니다.
① 기준금리
■ 기준금리는 대출금리를 정할 때 기준이 되는 금리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한국은행이 정하는 기준금리나 시장의 채권 금리와 연동됩니다. 으례껏,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리면, 은행들이 돈을 구하는 비용도 커져서 대출금리가 올라가는 경향이 대부분입니다.
② 가산금리
■ 가산금리는 기준금리에 더해지는 추가 금리를 말합니다. 은행이 대출을 해줄 때 발생 할 수 있는 리스크, 운영비용 등을 반영해 결정됩니다.
■ 가산금리는 대출자의 신용도나 대출상품의 종류, 담보 여하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 혜택이 있으며, 당연스럽게도 담보가 없는 경우 대출금리가 높아지는 논리입니다.
③ 가감조정 금리
■ 통상적으로 대출상담을 할 때 우대금리라고 부르는데요. 해당은행이나 계열사의 신용카드사의 카드를 발급받았거나 사용할 때, 급여를 자동이체, 기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혜택적으로 증감해 주는 금리 제도를 말합니다.
■ 당연스럽게도 대출금리 혜택을 보면 목돈의 경우 단 0.1%라도 큰 혜택이 되기 때문에 주거래 은행이나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한 편입니다.
나. 고정그림, 변동금리 개념
■ 고정금리: 대출 실행 시 결정된 금리가 대출 만기까지 똑같이 유지되는 금리제도를 말합니다.
■ 변동금리: 일정 주기(3,6,12개월 등) 마다 대출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금리가 변동되는 제도를 말합니다.
☞ 변동 금리 예시: 대출금리 재산정 주기가 3개월이라고 가정할 때, 변동금리의 경우 최초 계약 시 3%에서 대출 기준금리가 3개월 후 3.5%로 0.5% p 상승했다면 대출자의 대출금리도 이에 따라 0.5% p 올라가는 금리제도를 말합니다.
다. 혼합금리 개념
■ 고정금리 방식과 변동금리 방식이 결합된 형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일정기간 고정금리 적용 후 변동금리를 적용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라.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중 어느 쪽이 유리한가?
■ 고정금리는 금리자체가 대출기간 내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월 상환액이 일정합니다. 미래에 금리가 올라도 영향을 받지 않아 매달 내는 원리금은 동일합니다. 다만 금리가 낮아졌을 때는 금리 인하 효과를 보지 못한다는 점이 불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변동금리는 고정금리의 단점이 장점이 되는 금리제도입니다. 즉, 금리가 떨어지면 이자를 줄일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금리가 오른다면 이자 부담이 크게 상승할 수도 있는 것이죠.
■ 결론은 금리가 내려가는 추세이면 변동 금리로 대출받는 게 유리하고, 반대로 금리가 오르는 추세라면 고정금리로 대출받는 게 당연히 유리하겠습니다.
■ 일반적으로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이자율이 높은데, 만약 양자 간에 1% P차이가 난다면 대개 변동금리가 더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미 기준금리가 오른 많이 오른 상태라 더 오르기보단 내려갈 확률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 대출을 받고 계시다면 항상 주기적으로 고정과 변동금리를 확인하셔도 갈아타시는 방법도 이자비용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공단] 노령연금을 조기연금 신청 할 경우 장단점 분석 (1) | 2024.11.29 |
---|---|
[정부정책] 2025년 소상공인 지원 정책 종합 (2) | 2024.11.28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도 세금 내고 종합소득세에 포함된다는 사실 (1) | 2024.11.26 |
[국민연금 공단]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 유불리 분석 및 주의할 사항 (0) | 2024.11.25 |
[정책 알림] 정부 청년 취업 지원금 및 청년 정책(feat, 총 정리) (1) | 2024.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