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대 옷장 수납장 가구 경첩 조절 방법
쉬는 날에 집안의 이것저것을 손 보던 중 씽크대와 옷장 등의 단차나 수평이 맞지 않는 것을 보고 간단하게 조절을 해 보았는데요
십자드라이버 정도만 있으면 할 수가 있어요.
경첩의 종류
■ 경첩의 종류에는 주로 많은 움직임에 있는 방문에 쓰는 볼 베어링 경첩, 한마디로 나비경첩이라고도 부릅니다. 나비경첩은 높낮이 조절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초기 설치 시 높낮이를 정확하게 맞춰서 설치해야 하는 주의점이 있습니다
■ 문을 닫을 때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이 있어 주로 옷장이나 씽크대에 쓰는 오버레이 경첩, 맞대기 경첩, 잠금장치가 없는 문이나 서랍등에 주로 사용하는 걸쇠경첩, 특별한 도구 없이 문을 들어 올리면 분리되는 리프트오프 경첩 등이 있는데요 오늘 제가 셀프 경첩 조절하는 것은 주방 쪽 싱크대입니다
씽크대 경첩 조절하는 법(feat., 셀프 조절하기)
■ 필요공구: Only 십자드라이버
★ 집 수납장 경첩의 수평이 조금 틀어져 있는 게 있었습니다 수평도 맞지 않고요. 사진 ①번처럼 수평이 조금 맞지 않고요. 2번 사진처럼 문틈 간격이 위와 아래가 맞지 않아서 십자드라이버를 찾아서 경첩 조절을 해 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쉬우니깐요. 직접 해보시는 것을 적극 추천 드립니다. 기본 원리만 이해하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간단한 내용이니깐요.
수납장 싱크대 확인 사항 및 경첩 나사별 기능(아래 사진번호 참고)
■ 수납장 씽크대 문 높이가 맞는지 여부 확인
▶높이가 다른 문과 다르다면 2번 나사를 풀어 문 높이를 조절한 후 다시 체결
②번 나사의 상하조절 기능 이용
■ 수납장이나 씽크대 문틈이 너무 벌어졌거나 수평간격이 맞지 않거나 겹쳐져서 닫히지 않는지 확인
▶ 1번 나사를 조절하여 문의 좌우 위치를 조절
①번 나사의 좌우조절(수평) 기능 이용
■ 수납장 씽크대 문이 들떠서 꽉 닫히지 않는지 여부 확인
▶ 4번 나사를 조절하여 문의 앞뒤 위치를 조절
④번 나사의 앞뒤 조절 기능 이용
★ 제 집의 수납장 같은 경우에는 아래 사진에 보다시피 경첩이 붙은 곳은 앞뒤간격이 맞지 않고 문과 문틈은 수평이 맞지 않는 상태였기 때문에 1번 경첩 나사와 4번 경첩 나사 조절을 통해서 수납장 문 수평과 들뜸을 고쳤습니다. 지금부터 그 고치는 과정을 보시도록 하겠습니다
▼
① 위 사진 2번 문짝 위쪽 부분이 튀어나와서 경첩 나사의 앞뒤조절 기능을 하는 나사를 조절하여 맞췄습니다. 경첩이 한 부분만 달린 게 아니기 때문에 위아래 경첩을 조금씩 조절해 가면서 맞춰가는 약간의 인내심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아래 사진은 경첩 나사 기능이 좌우조절 하는 기능의 경첩 나사입니다.
십자드라이버로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문이 안쪽으로 당겨진다는 개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반대로 경첩 나사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문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겠죠?
문짝이 두 개이고 경첩이 위아래로 최하 4개 이상 달렸기에 경첩을 조금씩 조금씩 미세하게 조정하는 경첩을 잘 맞추는 가장 중요한 팁인 것 같네요.
② 경첩나사의 이런 기본 기능과 역할만 이해하시면 수납장 싱크대 장롱 등의 문틈이 틀어지거나 맞지 않을 때 쉽게 맞출 수 있는 것입니다
약간의 수고만 있으면 존경받는 남편이 될 수 있어요. 셀프로 경첩 조정을 해 보았습니다.
[경첩 앞뒤 기능 나사 조정 전]
▼ ▼ ▼
[경첩 앞뒤 조절 기능 나사 조정 후]
▼ ▼ ▼
[경첩 좌우조절 기능 나사 조정 후]
마침 집에 수평계가 있어서 수평을 재보니 아래 사진처럼 수평도 정확히 맞췄네요. 집에서 십자드라이버를 들고 이것저것을 손보는 남편을 바라보는 아래의 눈에 잔잔한 칭찬의 눈길을 느낄 수가 있었습니다.
간단하지만 생활 속의 지혜처럼 손쉽게 셀프로 할 수 있는 싱크대 수납장 옷장 등의 문이 틀어지거나 맞지 않았을 때 경첩을 조절하여 맞추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 연금공단] 2025년부터 바뀌는 국민연금 연계감액제도 (0) | 2025.02.10 |
---|---|
[국민연금 공단] 이혼 시 국민연금 분할연금 문제점(feat, 배우자 사망시 유족연금 60%, 이혼시 분할연금 100% 받는다면) (0) | 2025.02.06 |
[알아두면 좋은 내용] 정부지원 청년 적금 통장 내역(주택드림청약통장, 청년도약계좌 등) (1) | 2025.02.05 |
[연금공단] 국민연금(노령연금)은 물가상승율 반영 가성비 연금제도 top (feat, 120% 활용법) (0) | 2025.02.04 |
[연금공단] 퇴직금을 연금수령 시→ 퇴직소득세율 50% 감면 구간 신설 (0) | 2025.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