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보험나이
가. 서론
민법, 행정기본법 개정을 통해서 2023년 6월 28일부터 복잡한 나이셈범을 통일해서 만나이로 통일하기로 하였는데요. 그러나, 상법상 인보험에서 계산하는 나이는 만나이도 아니고 우리나라 나이셈법도 아닌 보험에서만 계산하는 독특한 나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나. 보험나이 계산법
구분 | 내용 | 실제 계산 예시 |
나이 적용 기준 | ● 계약일 현재 실제 만나이 기준 적용 | |
▼ | ▼ | ▼ |
6개월 미만 | ● 끝수 버림 | ○ 50세 5개월 = 50세 |
▶ 정갑동씨 보험나이 계산 예◀ ▷ 나이: 73년 3월 1일생 ▷ 보험계약일: 22년 8월 1일 [보험나이 계산] - 22년 8월 1일 - 73년 3월 1일 = 49년 5개월 = 49세 + 5개월은 버림 = 49세 |
||
6개월 이상 | ● +1년 | ○ 50세 7개월 = 51세 |
▶ 정을동씨 보험나이 계산 예◀ ▷ 나이: 73년 3월 1일생 ▷ 보험계약일: 23년 1월 1일 [보험나이 계산] - 23년 1월 1일 - 73년 3월 1일 = 49년 10개월 = 49세 + 1년 = 50세 ☞ 계약일은 매년 1월 1일자가 정을동씨의 보험나이로 기산함. 즉 24년 1월 1일이 51세가 되는 개념임 |
반응형
2. 보험나이의 문제점 및 단점
가. 보험계약 시 보험나이 → 보험료 산정의 중요 요인
구분 | 실제 만나이 (정을동씨) |
보험나이 | 보험계약내용 |
보험료 산정 | 49세 | 50세 | ● 실제 만나이는 49세이나 보험료 산정시 나이는 50세로 계산되어 보험료가 오를 가능성이 많음 |
나. 보험만기 적용 나이 기준: 보험나이
구분 | 만나이 | 보험나이 | 내용 |
보험만기 (30년) |
79세 | 80세 | 보험만기가 보험나이로 산정하기에 실제 만나이보다 더 빨리 도래하게 되어 손해를 보는 구조임 |
▶ 정을동씨 보험만기 계산 예◀ ▷ 나이: 73년 3월 1일생 ▷ 보험계약일: 23년 1월 1일 ▷ 보험나이로 보험만기: 2053년 1월 1일 ▲ ▼ ▶ 실제 만나이로의 보험만기: `2053년 3월 1일 ★ 정을동씨의 경우, 실제 만나이가 아닌 보험나이로 만기를 계산해보면 약 2개월의 손해를 보게됨. |
★ 반대의 경우, 보험나이로 6개월 미만일 때는 끝수는 버리게 되므로 이를 잘 활용하면 오히려 보험나이를 적게 해서 보험료를 덜 납부하게 되고 보험만기는 실제 만나이보다 더 많이 적용받을 수가 있게 되는 이치입니다. 보험을 계약할 때 이러한 점을 기억하셔서 활용하셨으면 합니다. 그러나,
보험나이가 태생하게 된 배경은 보험사에게 유리하기 때문에 보험사의 논리가 먹혀서 만들어진 것이므로 대부분이 경우에 보험에 가입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이점 명심하시어 보험에 가입할 때 한번 더 생각하셔서 보험계약을 하셔야 할 것으로 여겨집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고갈, 인구절벽 → 국민연금 개혁과 미래는 (0) | 2023.02.25 |
---|---|
[국민연금공단] 두루누리 지원금 신청대상 및 방법 → 80% 지원 (0) | 2023.02.23 |
[건강보험공단] 재산과 소득에 따른 의료보험 피부양자자격 상실시 불합리한 점 (0) | 2023.02.21 |
특수직역연금(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의 절세하는법 (0) | 2023.02.20 |
[공무원연금공단] 공무원연금 보험료율, 지급정지 조건 등 (a~z) (2) | 2023.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