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국토교통부] 대중교통 이용 시 20%~53% 적립되는 K-패스 도입 ← 알뜰교통카드 대체

by 자그담 2023. 8. 31.
반응형

1. 통합정기승차권 K-패스 도입

 

24년 7월 K-패스 도입 보도문
[24년 7월 K-패스 도입 보도문]

 

 

  가. K-패스 도입 사유 → 알뜰교통카드 문제점 개선

 

     ■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려면 별도로 앱 설치가 필요해 고령층이 이용하기 어려움.

 

     ☞ 앱을 실행해 '출발하기'와 '도착하기' 등의 버튼을 별도로 눌러야 이동 거리가 계산돼 마일리지가 적립되는 시스템으로 고령층이 이용하기에 불편함 발생.

 

     ■ 정액 지원 방식으로 인해 대중교통 요금이 인상되면 실질적으로 효과가 떨어짐.

 

     ■ 알뜰교통카드 앱의 오류 발생 빈번함.

 

 

  나. K-패스 적립비율

 

     ■ 최소 이용 횟수: 월 21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하여야 함.

 

     ■ 지출금액의 일정비율 적립

 

     ☞ 이용계층에 따라 20%~53%을 월 최대 60회까지 적립 →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

 

 

  다. K-패스 이용 편리성 개선

 

     ■ K-패스는 별도의 앱 설치가 필요 없으며, 이동한 거리와 무관하게 적립됨.

 

     ■ 정액이 아닌 정률 지원 방식이 적용돼 향후 교통비가 인상되더라도 이에 따른 부담 감소.

 

 

2. 알뜰교통카드 vs. K-패스 비교

 

  가. 알뜰교통카드

 

     ■ 도보ㆍ자전거 등 이동거리 비례(800m 초과 시 전액)

 

     ■ 월 15회 ~ 60회(최소 15회 이상 이용해야 적립금 환급)

 

     ■ 적립률: 정액제

 

 

반응형

 

     ■ 전용 앱 사용

 

알뜰교통카드 혜택
[알뜰교통카드 혜택]

 

 

  나. K-패스

 

     ■ 이동한 거리와 무관하게 이용금액을 기준으로 일정비율을 적립

 

     ■ 월 21회~60회 적립

 

     ☞ 최소 21회 이상 이용해야 적립금 환급

 

     ■ K-패스 적립비율: 최소 20% ~ 최대 53.3%

 

★ K-패스는 선불충전식, 후불형 체크·신용카드 모두 이용 가능하도록 시스템 구축할 계획입니다.

 

24년 하반기 도입 K-패스 혜택
[24년 하반기 도입 K-패스 혜택]

 

 

★ 24년 6월까지 K-패스 운영시스템 구축 및 관계기관(지자체·카드사 등) 협의 등 K-패스로의 전환 준비를 하고 사업이 전환되어도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K-패스도 사용 가능토록 조치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현행 알뜰교통카드의 문제점이 심각하게 대두되는바 조속히 K-패스로의 전환이 기대가 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