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건강보험공단] 지역 건강보험료 줄이거나 내지않는 방법(a~z)

by 자그담 2024. 4. 18.
반응형

1. 지역건강보험료 줄이는 법

 

   가. 건강보험료 부과 시점

 

       ■ 국세청에서 건강보험공단으로 소득자료가 넘어오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최신 소득자료가 건강보험료에 반영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구조입니다.

 

일자 '24년 5월 `24.11월~
내용 `23년도분 소득세 신고 `23년 소득분 건강보험료 반영
○ `24.11월까지 `22년 소득분 반영된 건강보험료 부과

● `24.11월부터 `23년 소득분 반영된 건강보험료 부과

 

 

       ■ 여러 가지 사유로 소득이나 재산이 줄었는데 이것을 반영하려면 1~2년을 기다려야 하는 아주 불합리한 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를 보완하고자 "건강보험료 조정신청 제도"가 있습니다.

 

 

 나. 건강보험료 조정신청 대상자

 

       ■ 올해를 기준으로 말씀드린다면, 건강보험료 조정신청 대상자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 2023년 소득이 2022년 소득보다 줄어드신 분

 

       ☞ 소득금액 증명원 제출

 

       ■ 휴업, 폐업한 사업자, 일을 그만 둔 프리랜서

 

       ☞ 휴ㆍ폐업 사실증명서, 해촉증명서 제출

 

 

★ 늦게 신청 할수록 늦게 적용되어 더 많은 보험료를 납부하게 되오니, 되도록 빨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다. 소득금액 증명원 발급 시기

 

       ■ 늦게 신청할수록 손해입니다.

 

신청 시기 변경 소득 → 건강보험료 반영시기
7.1일 건강보험료 7월분 부터 반영
8.1일까지 건강보험료 8월분 부터 반영
9.1일까지 건강보험료 9월분 부터 반영
10.1일까지 건강보험료 10월분 부터 반영
미신청 건강보험료 11월분 부터 반영

 

미신청 하는 경우 5개월 동안 건강보험료를 추가적으로 납부하는 손해를 보게 됩니다.

 

 

 라. 주택금융부채 공제 신청 → 건강보험료 줄이기

 

       ■ 건강보험공단 주택금융부채 공제 신청 자격 및 요건

 

          ● 무주택자(전세) 또는 1 주택자(담보대출)

 

          ● 전세보증금, 주택공시가격 5억 원 이하

 

          ● 주택 취득 또는 입주일 전후 3개월 이내 대출한 금액

 

반응형

 

(부채공제금액은?)

 

1주택자 부채금액의 60%(5천만 원 한도)
무주택자 부채금액의 30%(1억 5천만 원 한도)

 

건강보험공단 주택금융부채 신청하는방법
[건강보험공단 주택금융부채 신청하기]

 

 

[※ 주택금융부채 공제 신청 바로가기]

 

 

       ■ 기존 신청자: 매년 11월 2일부터 10일까지 부채증명서를 건강보험공단에 재 제출하여만 자동적용된다는 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마.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전환 시 건강보험료 줄이기

 

       ■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면, 그동안 소득에만 50%만 부담하던 건강보험료가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까지 합쳐서 100% 부담하게 되므로 큰 부담으로 다가오게 됩니다.

 

       ■ 이런 경우에는, 퇴직 후에도 최대 36개월 동안 직장가입자 시절 내던 본인부담분만 낼 수 있는 임의계속가입자 제도가 있습니다.

 

       ■ 신청기한은 지역가입자로 전환 후 첫 고지서를 받은 날로부터 2개월 이내에 신청하셔야 됩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지역가입자 그대로 건보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첫 고지서를 받으신 후 유불리 여부를 판단하셔야 신청여부 결정하시면 됩니다.

 

 

 마. 지역가입자 금융소득 건강보험료 줄이는 법

 

       ■ 직장가입자는 이자 + 배당소득이 2천만 원 이하까지는 건강보험료를 추가 부담을 안 하는 반면에 지역가입자는 금융소득이 1천만 원만 초과해도 건강보험료를 부담하는 불합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에는 비과세 및 분리과세 소득은 건강보험료를 부담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표적인 예가 ISA 계좌입니다. ISA계좌에 금액이 얼마가 있든지 간에 9% 세율로 무조건 분리과세 하고 있는데요. 이를 활용하면 건강보험료를 추가로 부담하지 않게 되는 것이죠.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