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요양보호
가. 가족요양 제도란
■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한 가족이 등급판정을 받은 수급자(배우자 또는 부모) 에게 신체활동 지원 등 수급자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 하루 60분 20일 또는 하루 90분 31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 노인장기요양보험에는 65세 이상이면서 혼자서 생활이 불가능한 가족을 돌봐주는 가족요양제도가 있는바, 적게는 월 32~36만 원 많게는 월 80~90만 원 요양보호급여를 받으면서 돌볼 수가 있는 노인복지제도입니다.
■ 가족의 범위
▷ 수급자의 배우자(남편, 아내)
▷ 수급자의 직계혈족과 배우자
▷ 수급자의 형제자매
▷ 수급자 배우자의 형제자
▷ 수급자 배우자의 직계혈족
나. 가족요양 수급자격 및 조건
■ 노인장기요양보호법에 따른 등급 1~5등급 판정 취득
■ 서비스 제공자는 반드시 요양보호자격증 취득자여야 함
■ 수급자가 요양보호 5등급이면 치매전문교육을 이수하여야 함
■ 서비스제공자(가족)는 요양보호센터 소속으로 등록하여야 함
다. 서비스제공자가 가족요양 시 해서는 안 되는 사항
■ 가족요양을 하면서 다른 근로시간이 월 160시간 이상인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법으로 월 160시간 근무하면서 가족요양은 하지 못하도록 규정
▼
★ 만일 여타의 직업에서 월 근로시간이 16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면서 가족요양을 하는 경우에는 Penality가 부과될 수 있는데요. 어떤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① 자격이 없는 서비스제공자가 서비스를 제공한 부당한 요양보호급여 청구로써,
② 서비스제공기간 받은 급여 환수 + 요양보호센터 차익분 환수 + 과태료 부과
★ 가족요양을 하시면서 다른 근로활동을 하시는 경우에는 방문요양센터와 협의 및 건강보험공단에 문의 및 답변을 받으셔서 나중에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없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 적발케이스가 많은 가족요양 부정수급사례
▷ 수급자가 기존집이 아닌 다른 곳에서 생활로 바뀌었는데 계속 기존 집에서 수급받는 경우로 하는 경우
▷ 수급자가 병원에 입원해 있음에도 기존 집에서 수급받는 경우로 하는 경우
▷ 실제 서비스 일수가 적음에도 실제 서비스 제공일자보다 많이 한 것처럼 급여청구 하는 경우
▷ 서비스 제공시간에 사적업무 활동을 하는 경우 등
라. 올바른 가족요양서비스 제공 내역
■ 가족 수급자의 신체활동 지원 등 수급자만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신체청결, 옷 갈아입히기, 이동도움, 식사도움, 체위변경, 화장실 도움 등 신체활동 지원
■ 수급자를 위한 산책 동행, 병원 이동 동행, 수급자를 위한 음식마련 등 서비스 제공도 가능
☞ 단, 수급자와 함께하는 국내외 여행 등은 서비스 제공으로 인정을 받지 못함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 스마트장기요양앱 가족요양 태그
가. 스마트 장기요양 앱 태그 찍는 요령
■ 신체활동지원 위주로 하는 게 바람직함. 물론 정서적 지원이나 일상생활 지원도 가능합니다.
■ 신체지원 활동은 서비스 제공시간 내에 하셔야 함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 보험] 실업급여 신청방법 → 실업급여 신청에서 실업급여 입금까지 (0) | 2023.07.23 |
---|---|
[셀프 줄눈] 셀프 줄눈 시공 후기(feat. 욕실 2개) (1) | 2023.07.22 |
[보건복지부] 2024년 최저임금 시급 9,860원 → 월 206만 740원 (0) | 2023.07.19 |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 연기 및 실업급여 신청기한 (0) | 2023.07.19 |
[국세청] 월세환급제도 신청방법, 신청대상 등: 월세 세액공제, 월세 현금영수증 신청 등 (0) | 2023.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