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란우산 vs. 연금계좌
가. 노란우산 개요
■ 소기업ㆍ소상공인 범위에 들어가는 개인사업자나 법인의 대표라면 누구나 가입가능.
■ 세액공제 기준: 최대 5백만 원까지 소득공제 가능하고 적립금은 압류 불가능함.
■ 폐업 시, 누적된 적립금은 일시에 지급받을 수 있는 한마디로 말해서 자영업자의 퇴직금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 필요에 따라 20년간 연금형태로 지급받을 수도 있는 상품입니다.
나. 노란우산 & irp 소득 공제 효과
■ 예를 들어 4천만 원 사업소득이 있는 자영업자(소상공인)가 계시다면,
■ 노란우산에 연 5백만 원 납부 시: 최대 85만 5천 원 세액공제
■ 또한, 개인형 연금인 IRP(연금저축)에 9백만 원을 납입한다면 최대 148만 5천 원을 세액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종합소득 4천5백만 원을 기준으로 13.2% ~16.5%까지 세액공제해 주는 연금 상품임.
다. 노란우산 소득공제 기준 및 금액
구분 | 노란우산 | 소득공제액 |
사업소득 (임대소득, 기타소득은 제외) |
~4천만 원 | 5백만 원 |
4천만원~1억 원 | 3백만 원 | |
1억 원 이상 | 2백만 원 |
※ 연금 계좌는 근로소득, 기타, 임대소득 등 종합소득에서 공제를 해주어 공제 소득범위가 넓음.
[※ 참고: 소득세율표]
과세표준액 | 소득세율 | 누진공제액 |
1,400만 원 이하 | 6% | - |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 15% | 126만 원 |
5,0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 24% | 576만 원 |
8,800만 원 ~ 1.5억 이하 | 35% | 1,544만 원 |
※ 과세표준액: 여러 가지 금액을 공제하고 최종 세금을 부과하는 대상금액임
★ 케이스 1) 예를 들어 과세표준액이 4천만 원이라면, 세율 15%를 적용받아 세금이 6백만 원이 됩니다. 여기에서 누진공제액 126만 원을 추가로 공제해 주면 474만 원이 되고, 여기에 지방세 10%를 추가해 주면 최종 세금은 521만 원 정도가 산출되는 것입니다.
▼
만일, 노란 우산에 5백만 원을 납입하였다면, 과세표준액 4천만 원에서 5백만 원을 공제한 3,500만 원이 과세표준액이 되며, 내야 할 세금을 계산해 보면 438만 9천 원이 산출됩니다.
노란 우산에 납입하기 전 세금 521만 원에서 438만 원으로 줄어들게 되는 것이죠. 대략 82만 원 정도 세금이 절감되는 것입니다. 연금저축 irp도 종합소득 4천5백만 원 이하는 16.5% 세금공제를 해주기 때문에 노란 공제 소득공제와 비슷한 금액이 나옵니다.
케이스를 확장해서 좀 더 쉽게 비교해 보겠습니다.
[※ 참고: 노란우산 소득금액공제]
구분 | 사업소득 (과세표준액) |
최대 소득공제 한도 |
소득공제 적용율 | 절세효과 |
개인, 법인대표 | 4천만 원 이하 | 500만 원 | 6.6% ~ 16.5% |
330,000원 ~ 825,000원 |
개인 | 4천만 원 초과 ~ 1억 원 이하 |
300만 원 | 16.5% ~ 38.5% |
495,000원 ~ 1,155,000원 |
법인대표 | 4천만 원 초과 ~ 5,675만 원 이하 |
300만 원 | 16.5% ~ 38.5% |
495,000원 ~ 1,155,000원 |
개인 | 1억원 초과 | 200만 원 | 38.5% ~ 49.5% |
770,000원 ~ 990,000원 |
※ 연금저축이나 irp 소득공제율: 4,500만 원 이하는 16.5%, 초과는 13.2% 소득공제
라. 수익률 비교(예금 운용 기준)
노란우산 | irp | 행정공제 | 교직원 공제 |
3.3% | 4.45% | 4.87% | 4.6% |
마. 연금수령 요건
■ 노란우산: 60세 이상 & 120개월 납입 & 실수령액 1천만 원 이상시 연금처럼 수령 가능.
☞ 연금수령기간은 5년부터 최대 20년까지.
■ 연금저축(irp): 55세 이상 & 가입한 지 5년 이상 일 때 연금수령 가능.
☞ 연금수령한도 초과 안 하는 조건하에서 10년 이상.
바. 노란우산 장ㆍ단점
■ 장점
● 지자체로부터 희망장려금 혜택(최대 36만 원)
● 낮은 이자율로 대출 가능
● 경영자문, 휴양시설 이용, 건강검진 등 각종 복지서비스 수혜 가
● 공제금은 압류할 수 없고 국가가 지급 보장
● 과세표준이 4천만 원 초과 시 세금 혜택 ↑
● 2016년 이후 가입자는 이자에 대한 세금이 없으며, 일시금으로 찾을 때도 저율임
● 개인형 연금은 연금수령한도 내에서 연금을 수령해야 하지만 노란우산은 수령한도 제한이 없음
■ 단점(아쉬운 점)
● 과세표준액이 적을 때 효과가 낮음
● 시중은행보다는 예금이자율이 높으나 여타의 행정공제, irp예금 금리보다는 낮음
● 소득공제 한도가 최대 5백만 원인데 과세표준액이 높아질수록 한도액이 줄어드는 점이 있음
★ 과세표준액이 적으면 노란우산은 그 효과가 미미합니다. 하지만 소득이 5천만 원을 초과하면 그 효과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소득공제율로 따지면 irp보다 두 배에서 세배까지 소득공제 효과가 있습니다.(동일한 공제액이라고 가정 시)
★ 여유가 있다면 노란우산에 한도를 다 채우고 연금계좌도 한도(9백만 원)를 채우는 게 유리합니다. 55세 이전에 목돈으로 할 계획이라면 연금저축이나 irp는 세금이 상대적으로 무겁습니다. 왜냐면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해지할 경우 고율로 과세하기 때문이죠.
★ 노란우산이나 연금저축(irp)은 건강보험료 소득이나 재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림축산식품부] 주말농장, 농어촌공사 위탁 3년 농지 보유해야 가능 → 농지법 개정(`23.8.16) (0) | 2023.10.10 |
---|---|
[건강보험공단] 금융소득 년 336만원(월 28만원) 초과시 건강보험료 부과 추진 (1) | 2023.10.07 |
[국세청] 부모나 배우자 사망 후 상속세 금융조사 모든 것(A ~Z) (1) | 2023.10.04 |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남들처럼 수령 위한 6가지 자격 요건 (1) | 2023.10.01 |
[국세청] 부모나 배우자 사망 후 상속세 세무조사 모든 것(A ~Z) (1) | 2023.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