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2023년 기초연금19

[연금공단] 기초연금 신청 전 주의해야 할 사항 1. 기초연금 신청 전 조심해야 할 사항 가. 자녀 등 개인 간 금융거래는 부채로 미인정된다는 점 주의 -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 시 부채 미포함 구분 부채 포함여부 세부 내용 금융기관 및 공공기관 대출금 포함 - 사채 (차용증) 미포함 원칙적으로 부채 미인정되나 단, 법원 판결문, 화해, 조정조서에 의한 확인된 사채는 부채로 인정 [※ 참고사항 :소득인정액 산정식] [ (일반재산(시가표준액) - 지역별 공제액) + (금융재산 - 2천만원 공제 - 부채)] X 소득환산률 4% / 12개월 + P값 (고급자동차 및 회원권의 가액) ※ 지역별 공제액: 대도시(135백만 원) ~ 중소도시(85백만 원) ~ 농어촌(72.5백만 원) 나. 부모 vs. 자녀 간 임대차 계약에 의한 보증금은 부채 미인정 □ 기초연.. 2023. 4. 10.
[국민연금공단] 2023년 기초연금 100% 수령 위한 금융재산 관리tip 1. 2023년 기초연금 지급액 가. 2023년 기초연금 구분 2023년 기초연금 단독가구 323,180원 부부가구 517,080원 ※ 기초연금 감액제도인 국민연금 연계감액, 소득역전방지감액 미 반영 ▼ ★ 그러나, 실제 현실에서는 부부가구의 경우에는 인당 지급액 323,180원의 정확한 두 배인 646,360원을 모두 수령할 수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부부연계감액(각 20%) 받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도 국민연금연계감액, 소득역전방지감액을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감액받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부부연계감액을 제외한 부부가구 517,080원을 100% 지급받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나. 기초연금 감액제도 및 감액순서 기초연금 감액제도 및 순서 내용 ① 부부연계감액 ● 부부 각각 20.. 2023. 3. 8.
[국민연금공단] 기초연금 수령 중 탈락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올해 1.25일에 인상된 기초연금 323,180원(단독가구 기준)을 첫 수령하였습니다. 어느해보다 인상율(5.1%)이 높았는데요. 기초연금 40만원 인상과 국민연금과 연결된 개혁방향 등의 이유들로 인해서 더 관심들이 많아지는것 같습니다. 이런 기초연금을 수령중에 국민연금공단은 자격유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리감독하고 있습니다. 자격조건은 조회는 1년에 상ㆍ하반기 2차례 실시합니다. 이 과정에서 기초연금을 수령중에 탈락하시는 분들이 종종 나오는데요. 기초연금 수령중에 탈락하지 않기 위한 주의사항에 대해서 오늘 말씀 드려봅니다. 1. 기초연금 탈락 방지 주의사항 가. 일반재산 매각 → 금융재산 전환 시 (기초연금 수령 중) 일반재산(부동산, 토지 등)은 시가표준액으로 산정하고 지역별로 대도시 135백만원 ~ .. 2023. 2. 16.
[국민연금공단] 2023년도 기초연금 → 소득인정액 항목별 최대 기초연금 수령액 산정 기초연금 신청은 만 65세가 되는 달의 전월 1일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어떤 조사자료에 따르면 1년에 20여만 명 가까운 어르신들이 기초연금에 대해 잘 모르시거나 한번 떨어지시는 분들이 해마다 조건이 변해서 대상임에도 재 신청을 하지 않아서일 겁니다. 기초연금은 신청주의 원칙입니다. 즉, 해당되시더라도 신청을 안 하시면 국가가 알아서 주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기초연금에 한번 탈락하셨더라도 해마다 신청하셔야 됩니다. 오늘은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인 소득인정액의 평가 항목인 일반재산, 금융재산, 근로소득 항목별로 재산가치나 소득이 얼마까지 기초연금 전액(323,180원) 받으실 수 있는지 항목별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3년 기초연금액 가. 2023년 기초연금액 구분 `22년 기초연금 ▶ +1.. 2023. 2. 5.
[국민연금공단] 기초연금 P값 있으면 소득 & 재산 없어도 기초연금 수급자 탈락 2023년 기초연금액 인상이(5.1% 증가) 확정되어 지난 1.25일부터 적용되어 지급되었습니다. 기초연금 수급대상자에서 탈락하는 요인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소득과 재산(일반재산 & 금융재산)이 많아서 탈락하는 경우도 많지만 의외인 경우에서 탈락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 의외의 변수가 기초연금 수급대상자가 P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1. 2023년 기초연금 지표 가. 2023년 기초연금액 구분 `22년 기초연금 ▶ +15,680원 + 25,080원 `23년 기초연금 단독가구 307,500원 323,180원 부부가구 492,000원 517,080원 ※ 부부가구 기준: 기초연금 3대 감액제도 중 부부가구 감액만(각각 20%) 적용 나. 2023년 소득인정액 산정식 [ (일반재산 - 지역별 공제.. 2023. 2. 1.
[국민연금공단] 2023년 기초연금 다 못 받는 이유 종합 (기초연금 감액제도) 2023년 기초연금액 323,180원이 확정되었습니다. 부부기준으로는 최대 517,080원을 받는다고 하는데요. 23년 1월 25일에 인상된 금액으로 지급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다 받으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생각 외로 적게 받으신 분들도 적잖게 있을 것이라 여겨집니다. 오늘은 기초연금 지급액 단독가구 323,180원과 부부가구 기준 517,080원을 다 못 받는 이유들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한마디로 기초연금 감액제도 때문입니다. 지금부터 기초연금 3가지 감액제도와 감액제도를 적용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2023년 기초연금 가.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선정 기준액) 구분 2022년 ▶ 2023년 단독가구 180만원 202만원 부부가구 288만원 323.2만원 ※ 2023년.. 2023. 1. 29.
[국민연금공단] 2023년 기초연금액 및 기초연금 금융재산 소득인정액 산정 (a~z) 2023년 기초연금 지급액이 323,180원으로 확정되었는데요. 오늘은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을 산정할 때 공제되는 금액이 적어서 가장 불리한 금융재산. 즉, 현금, 예금, 주택, 보험 같은 재산들이 기초연금 산정 시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떤 기준으로 조사해서 반영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재산의 소득환산평가는 항목마다 기준과 계산방식이 조금씩 다릅니다. 지금부터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3년 기초연금 지급 가. 단독가구 기초연금 지급액 `22년 지급액 `23년 지급액 307,500원 323,180원 인상액 +15,680원 나. 부부가구 기초연금 지급액 `22년 지급액 `23년 지급액 492,000원 517,080원 인상액 +25,080원 ※ 부부가구 지급액 기준: 부부.. 2023. 1. 24.
[국민연금공단] 2023년 기초연금 지급액 확정 (323,180원) 지난 1월 9일 날 2023년 기초연금 지급액이 최종 확정 발표되었는데요. 의견수렴이라는 요식행위를 걸치는 과정이 있지만 확정이라고 100%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2023년 기초연금 지급 확정액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2023년 기초연금 인상액 확정 가. 기초연금 단독가구 인상액 `22년 지급액 `22.9월 발표 정부안 `23년 최종안 307,500원 321,950원 323,180원 인상액 +14,450원 +15,680원 나. 기초연금 부부가구 인상액 `22년 지급액 `22.9월 발표 정부안 `23년 최종안 492,000원 512,120원 517,080원 인상액 +23,120원 +25,080원 ※ 부부가구 지급액은 기초연금 감액제도 중 부부가구 감액만 적용한 기준임 2.. 2023. 1. 11.
[국민연금공단]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금융재산 계산 (a ~ z)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이 약 12% 정도 인상되었습니다.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을 산정하는 산출 식은 소득은 평가하고 재산은 소득환산해서 평가를 하는데요. 오늘은 재산 중(물적재산, 금융재산) 중 금융재산이 어느 정도 수준이어야 기초연금을 수령가능한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인상 가. 인상내역 구분 `22년 증감 `23년 단독가구 180만원 + 22만원 202만원 부부가구 288만원 + 35.2만원 323.2만원 증감 + 12% ▼ 즉, 소득 + 재산 - 부채를 평가한 소득인정액이 아래와 같을 때 표의 기초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구분 단독가구 부부가구 소득인정액 (2023년) 202만원 323.2만원 ▼ ▼ ▼ 기.. 2023. 1. 5.
[국민연금공단]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의 모든 것 (a~z)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 2023년 기초연금 지급액 및 기초연금 재산, 소득, 부채에 대한 모든 것 (a~z) 2023년 기초연금이 22년에 비해서 약 5% 인상되었고 (23년 기초연금지급액: 321,950원) 기초연금 수급대상자를 선정하는 선정기준액( = 소득인정액)은 약 12% 인상되었습니다. 기초연금의 중요성은 백번, 천 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앞으로 몇 년간 최대 이슈가 될 국민연금 개혁, 건강보험 재원 고갈위기 등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기 때문입니다. 즉, 기초연금은 ★ 의료보험 피부양자 자격여부 산정 ★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산정 미반영 ★ 그리고, 기초연금 40만 원 시대가 도래할 때는 부부가구 기준으로 최대 매월 64만 원 수령과 ★ 매년 기초연금이 물가인상률만큼 인상되.. 2023. 1. 3.
[국민연금관리공단] 2023년 기초연금 국민연금연계감액 (a~z) 2023년 기초연금 국민연금연계감액 2023년 기초연금지급액이 단독가구 321,950원 부부가구 515,1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또한, 2023년 기초연금 수급자 선정을 위한 2023년 소득인정액 선정기준금액이 단독가구는 202만 원 부부가구는 323.2만 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더 많은 분들이 기초연금 수급대상자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오늘은 기초연금 지급액이 인상됨에 따라 국민연금연계감액 금액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3년 기초연금 수급대상 기준 구분 지급 기준 비고 나이 만 65세 ~ 대한민국 국적자 소득기준 소득하위 70% ▼ ▼ ▼ ▶ 2023년 기초연금 지급액 및 소득인정액 ◀ 가구 구분 단독가구 부부가구 ▼▼▼ `23년 기초연금액 321,950원 515.. 2023. 1. 2.
[보건복지부]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단독가구 202만원, 부부가구 323만원 확정 2023년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기준 단독가구 202만원, 부부가구 323만원 확정 2023년 기초연금 지급대상자 선정기준액 2023년 기준연금액 및 2023년 소득인정액 산정기준이 고시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분들이 새롭게 기초연금을 수급대상자로 포함될 가능성이 더욱더 높아졌는데요. 새롭게 기초연금 수급대상자가 되시는 분들이나 기존에 기초연금을 신청해서 탈락된 분들은 반드시 기초연금 수급대상 신청을 하시길 권유합니다. 오늘은 늘어난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 내역에 대해서 말씀드리고 나아가, 반드시 기초연금을 재 신청해야 되는 사유에 대해서 다시 한번 말씀을 드립니다. 1. 2023년 소득인정액 산정기준액 변경 가. 기초연금 수급대상 선정기준액이란 ♣ 기초연금 수급여부를 결정하는 기준금액.. 2022. 12. 31.
[국민연금관리공단] 기초연금 수급 위한 주의사항 (feat, 자녀) 기초연금 수급자격 위한 주의사항 (feat, 자녀) 매년 기초연금을 수령을 위한 환경이 조금씩 변합니다. 더군다나 금년 기초연금 지급액이 307,500원에서 23년 기초연금 지급액은 321,900원으로 확실히 되고 현 정부 임기 내에는 기초연금 40만 원 시대가 열릴적으로 확정적으로 보이는데요. 그만큼 기초연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간과하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잘 받던 기초연금이 중단되거나 또는 금액이 감액되거나 심할 경우, 기초연금을 자격이 됨에도 불구하고 아예 못 받는 경우도 발생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기초연금 수급과 자녀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말씀을 드릴까 합니다. 1. 자동차를 자녀와 공동명의 시 영향 ★ 미치는 영향 : 기초연금 수급자 탈락에 영향 미.. 2022. 12. 25.
2023년 기초연금 수급 위한 주의사항 및 미 포함 소득은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미포함 소득 종류 및 기초연금 수급 위해 주의해야 될 사항 2023년 기초연금 수급액이 321,900원으로 거의 확정적으로 되는 것 같습니다. 최종 확정은 23년 1월경 물가인상률을 반영한 최종금액을 확정 발표를 하는데요. 오늘은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 시 소득요건에 포함되지 않는 소득종류 및 기초연금을 지급받기 위해 피해야 할 주의사항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 시 미포함 소득종류 1. 실업급여 가.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식: 재산 + 소득 - 부채 + P값 실업급여는 비자발적 퇴직으로 인해서 구직급여를 받을 경우에는 기초연금에 포함되지 않음 [※ 이전 제 블로그 내용 참고: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 2022.08.28 - [새로운 노력, 도전, .. 2022. 12. 22.
[국민연금관리공단] 2023년 기초연금 부부감액제도 폐지시 인상금액 기초연금 40만원 시대는 현 정부의 임기내에 이뤄질 것으로 바뀌는 분위기로 변하고 있는 듯 합니다. 야당인 민주당에서는 애초에 추진했던 23년 기초연금 40만원 시대는 다양한 여론수렴과 재원상의 어려움등으로 유보를 할듯 보이며, 대신에 기초연금의 악폐중의 악폐인 기초연금 감액제도에 대해서 추진하기로 당론을 모으는듯 보입니다. 오늘은 기초연금 감액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느정도 기초연금이 오를지를 미리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기초연금 부부감액 ※ 부부감액: 부부가 동시에 기초연금 수급자일 경우에 각각 20%씩 감액하는 제도 ▼ ★ 2023년에 부부감액제도를 폐지하게 된다면 어느정도 혜택이 있을까요? 2. 부부감액제도 폐지 효과 가. 2023년 기초연금 기준연금액 2022년 기초연금 기준연.. 2022. 1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