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국민연금공단]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의 모든 것 (a~z)

by 자그담 2023. 1. 3.
반응형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 2023년 기초연금 지급액 및 기초연금 재산, 소득, 부채에 대한 모든 것 (a~z)

 

2023년 기초연금이

 

22년에 비해서 약 5% 인상되었고

(23년 기초연금지급액: 321,950원)

 

기초연금 수급대상자를 선정하는

선정기준액( = 소득인정액)은 약 12% 인상되었습니다.

 

기초연금의 중요성은 백번, 천 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앞으로 몇 년간 최대 이슈가 될

국민연금 개혁, 건강보험 재원 고갈위기 등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기 때문입니다.

 

 

즉, 기초연금은

 

★ 의료보험 피부양자 자격여부 산정

 

★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산정 미반영

 

 

그리고, 기초연금 40만 원 시대가 도래할 때는

 

부부가구 기준으로 최대 매월 64만 원 수령과

 

매년 기초연금이 물가인상률만큼 인상되어

돈의 가치가 미래에도 유지된다는 점

 

기초연금은 무조건 타내야 하는

나의 소중한 노후대책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2023년 기초연금 수급대상자 선정기준인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소득인정액) 산정 계산식과

그 실제 계산 사례를 들어 설명을 하겠습니다.

 

 

 

1. 2023년 기초연금 지급액 인상

 

  가. 인상내역

 

구분 `22년 증감 `23년
단독
가구
307,500원 +14,450원↑ 321,950원
부부
가구
492,000원 +23,120원↑ 515,120원
증감   +4.7%

 

 

  나. 2023년 소득인정액(선정기준액) 인상 내역

 

구분 `22년 (증감) `23년
단독가구 180만원 + 22만원 202만원
부부가구 288만원 + 35.2만원 323.2만원
증감   + 12%  

 

 

★ 2023년 소득인정액 개념은 무엇이며,

기초연금 항목별로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은

어떻게 산출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식

 

▶ 2023년 소득인정액 계산식 ◀

재산 + 소득 - 부채 + P값

 

 

[ ※ 소득인정액 개념 ]

 

    ♣ 소득은 평가하고 재산은 소득으로 환산해서 더하고 P값을 적용하는 것

 

소득 + 재산 α p값
평가 소득 ▶ 환산평가 적용

※ P값은 회원권 등 사치품 → 기준 초과 시 기초연금 수급자 100% 제외

 

 

 

[ ※ 참고)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출 식 ]

 

구분 항목 공제내역
일반 재산  토지, 건축물, 주택, 임차보증금, 분양권,자동차 등 ● 공시지가 적용


● 기본재산 지역별 공제액


▷ 대도시: 135백만원
▷ 중소도시: 85백만원
▷ 농어촌: 72.5백만원

금융 재산 예금, 적금, 보험의 해지환급금 등  

▶ 재산의 소득환산평가액 산출식 ◀


= [(일반재산 - 지역별 공제액) + (금융재산 - 2천만원 공제액) ]

X

소득환산율 4% / 12개월

= 월 소득환산평가액

+
(플러스)
소득 근로소득, 기타 사업소득, 임대소득, 이자소득, 연금소득, 무료임차소득 등 ● 소득 공제내역


- 근로소득: (근로소득 - 108만원) * 추가 30%공제

- 사업소득, 임대소득: 필요경비 및 공제 제외

- 국민연금, 공적연금, 개인연금은 소득에 포함


-
(마이너스)
부채 은행권 대출, 임대보증금, 주택연금, 농지연금 등  
+
(플러스)

P값: 고급자동차 등 고가회원권


(3,000CC or 차량가액 4천만원 이상)


☞ 해당시 기초연금수급자 100% 제외


무료 임차 소득 평가 : 자녀 소유, 공시 가격 6억 원 이상의 주택 거주 시, 월세에 상응하는 금액을 소득으로 인정

※ 임대보증금: 공시가격의 50%까지 부채 인정

※ 주택연금: 소득평가 시에는 미 반영, 부채 100% 인정

 

 

반응형

 

▼▲

 

 

[ ※ 참고) 주요 연금소득이 미치는 영향 ]

 

구분 기초
연금
국민
연금
주택
연금
개인
연금
물가인상율 반영여부 O O X X
의료보험
피부양자자격 자격심사시
X O

(100%반영)
X 반영
검토중
건강보험료 부과시 X O

(50%반영)
X 반영
검토중
 
기초연금 수급자 선정시 - O 부채로 공제 항목 O

※ 주택연금: 부채로 인식 → 재산에서 공제

 

 

 

★지금부터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을 실제 사례로 산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분히 숙독하였으면 좋겠습니다.

 

 

 

3.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출 사례(예시)

 

구분 소득인정액 계산 항목별
소득인정액
(월 환산액)

▶ 2023년에 만 65세가 되는 정갑동씨 사례 ◀


■ 소득

▷ 근로소득: 150만원(세전)
▷ 국민연금: 80만원


 일반 재산(공시지가)

APT: 양평 2억 8천만원

▷ 토지: 5천만원

▷ 자동차: 중고차 2천만원



 금융재산


▷ 예ㆍ적금: 3천만원

▷ 보험 해지환급금: 5천만원



 부채

▷ 은행 대출금: 6천만원


있다고 가정했을 때 



월 소득인정액 산출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근로소득 ● 남편: 근로소득150만

▷ 산출식: (150만원 - 108만원) * 추가 30%공제
294,000원
② 국민연금 남편 국민연금 80만 100% 반영 800,000원
③ 개인연금 ○ 없음 -
+
(플러스)
④ 재산소득
(공시지가)
 재산가액: 3억 5천만원
(아파트+토지+자동차)

-

중소도시거주 기본공제 85백만원


= 265백만원 X 4% /12개월

883,333원
+
(플러스)
⑤ 금융재산 금융재산: 2억 5천만원
(예적금 및 보험해지환급금)


-

기본공제 20백만원


= 230백만원 X 4% /12개월

766,666원
-
(마이너스)
⑥ 부채  주택담보대출 60백만원

= 60백만원 X 4% /12개월

-200,000원
⑦ 월 소득인정액
(최종)
○ 합계액 : ①+②+④+⑤ - ⑥

= 2543,999원
,

2,543,999원

 

▼▲

 

[※ 부부가구 기준 2023년 소득인정액]

 

구분 `23년 소득인정액 `23년 기초연금 지급액
단독가구 202만원 321,950원
부부가구 323.2만원 515,120원

 

 

★ 정갑동씨의 사례는

산출 소득인정액이 2,543,999원입니다.

 

 

부부가구 기준으로  실제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추정해 보면

 

▶ 만65세 동갑내기 정갑동씨 부부의 사례(위 예시) ◀
가구 기준 남편 정갑동씨 부인 정갑례씨
`23년 기초연금 지급액 321,950원 321,950원
`23년 월소득환산액
(정갑동씨네 부부)
2,543,999원 /월
`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부부가구 기준)
3,232,000원/월

기초연금 감액제도 적용 후 기초연금 지급액은?


① 국민연금연계감액 적용 → 부부감액제도 적용 →  소득역전방지제도 적용


① 국민연금 연계감액 후
▶ 적용사유: 국민연금 80만원 수령

▶ 기초연금 감액규모: 약 9만원선


★ 감액 후 잔여기초연금: 231,950원
감액 없음





★ 잔여 기초연금: 321,950원
② 부부감액제도 적용 후 ▶ 각 20% 감액


= 231,950-(231,950x80%)

= 185,560원
▶ 각 20% 감액


=321,950-(321,950x80%)

=257,560원
③ 소득역전방지제도 적용 적용대상 미 해당
★ 정갑동씨 사례의 경우


최종 기초연금 지급 예상금액은


남편 185,560원(국민연금 연계감액, 부부감액 적용)

아내 257,560원(부부 감액 적용)



합계 정갑동씨 부부가 월 443,120원 수령 예상

 

 

★ 위 사례처럼 정갑동 씨의 경우는

 

기초연금 정상지급액인 321,950원에서

 

국민연금 연계감액으로 -9만 원 차감

부부연계감액으로 46,350원 차감되어

최종적으로 185,560원을 수령하게 되며

 

 

아내인 정갑례 씨는

 

기초연금 정상지급액인 321,950원에서

부부감액으로 64,390원이 차감되어

최종적으로 257,560원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 여기에서 보다시피

 

기초연금에서

 

국민연금 연계감액제도와

부부감액제도가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가 있습니다.

 

이런 불합리한 제도는 조속히 개선되어야 할 것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기초연금 모의계산 조회 사이트: 모의계산 정보 입력 화면(기초연금) (bokjiro.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