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청년도약계좌(청년 통장)의 모든 것 정리 (a~z)

by 자그담 2023. 3. 17.
반응형

1. 청년도약계좌 (청년통장) 현황

 

  가. 청년지원 정책금융상품 자격요건

 

    □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구분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개인 소득 3,600만원 이하 7,500만원 이하
가구 소득 미 반영 중위소득 180% 이하

※ 소득이 없는 대학생은 가입 불가능 → 일하는 청년에 한.

 

 

  나. 청년도약계좌 조건

 

구분 내용
나이 요건 ● 만 19세 ~ 만 34세(Max 40세까지 가능)

☞ 군복무기간 인정 (최대 40세)
개인소득 요건 ●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요건 ● 중위소득 180% 이하

☞ 2인가구(622만원), 3인가구(798만원), 4인(972만원)

※ 이자 ㆍ 배당소득: 년 2천만 원 이상 종합과세자는 제외    ☞ 최근 3년간 단 1회라도 있을 경우

소득 기준은 전년기준임. 전년기준이 없을 경우 전전년 기준으로 판단함

 

 

  나. 청년도약계좌 납입한도

 

     □ 매달 70만 원 한도 내 자유납입

 

     □ 5년 만기, 최대 5천만 원

     ☞  (기존에 10년 납입, 최대 1억 통장 계획이었음)

 

 

2. 청년도약계좌 혜택

 

  가. 납입한도 70만 원까지 전액 비과세

  ☞ 비과세로 표면금리 상승효과 기대

 

  나.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금 혜택

 

개인소득
(총급여기준)
본인
납입한도
(월)


기여금
지급한도
(월)

(A)
기여금
매칭비율
(월)

(B)
기여금
한도
(월)

(C=AXB)
2,400만원 이하 70만원
(비과세)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만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3.7% 2.2만원
6,000만원 이하 70만원 3.0% 2.1만원
7,500만원 이하 - - -

 

 

반응형

 

 

 

★ 쉽게 설명하자면, 연봉이 3,500만 원인 A 씨가 매월 70만 원을 납입했을 때,

 

= 50만 원(기여금 지급한도) X 4.6% = 23,000원을 국가 예산으로 지원을 해준다는 개념입니다.

 

★ 만일 A 씨가 월 40만 원을 납입한다면은 지급한도 50만 원 밑이므로 40만 원 x 4.6% = 18,400원을 정부예산으로 지원해 준다는 의미입니다.

 

 

  다. 청년도약계좌 이자

 

     ■ 추후 발표  ☞ 3년 고정금리, 시세보다 높은 이율 예상

     ■ 저소득층에 우대 금리 예상

 

 

  라. 그 외 궁금 사항 정리

 

Question Answer
중도 해지하면?  ● 비과세 혜택, 정부지원금 혜택 없음(불이익발생)

☞ 불이익 발생 예외사유

- 가입자 사망, 해외이주, 퇴직, 폐업, 천재지변, 장기치료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 등은 예외 인정
가입 기간중 개인소득, 가구소득 증가 시? ● 1년 단위로 자격심사 → 자격심사결과에 따라, 정부지원금 지급여부, 규모 조정 

☞ 가구소득 증가는 심사에서 제외
청년희망적금을 하고 있는데 청년도약계좌 중복가입도 가능한지? ● 중복가입 불가

☞ 청년희망적금 만기후(중도해지) 가입 가능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하고 있을 때 중복 가입여부는? ● 중복가입 가능

 

3. 청년도약계좌 시행일자: `23년 6월 예정

     ■ 매월 2주 가입신청 → 2주 자격심사

 

 

많은 혜택이 있는 통장입니다. 주변에 알려서 가입해서 혜택을 보았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