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y point: 용접은 모재를 접합 시, "백 비드를 못 내면 용접사의 자격이 없을 정도"라는 말처럼 용접 시 백 비드를 균일하고 바르게 생성해 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꾸준한 연습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용접 모재 접합 뒷면의 용접부분이 표면에서 1~2mm 균일하게 돌출되고 반듯하면 용접을 잘했다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백 비드가 일정 비율 없거나 불량하면 무조건 탈락입니다.
♣ key point: 가접을 잘해야 한다. 가접 시 전류를 잘 맞춰줘야 하는 게 관점이다. 가접을 잘해야만 본 용접이 잘 진행될 수 있으니, "가접을 결코 소홀히 하지 마라"라고 강조받기도 하였습니다.
▶ 가접은 두개의 접합 면 양끝에 본 용접을 하기 전 미리 접합하는 것을 의미하며, 대개 120도의 아크온도를 용접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가접 시, 용접부위가 모재 표면위로 돌출되어서는 안 되니 이점 유의하시기 바래요.
◑ 용접 시험에 대한 내용
1) 용접 시험의 두께 및 용접 자세
① 6T(두께가 6mm의 의미): 아래 보기(F:), 수직 보기(V:), 수평 보기(H:) 자세 Test, 시험시간 30분
- 1차 용접 온도(백 비드): 87도(+-2), 2차 용접 온도(앞면): 90도(+-2)
- 6T 아래 보기 용접 시, 백비드1회, 앞면비드 2회 등 총 3회 용접합니다.
★ 아래 사진 키홀(동그란 부분)이 잘 생성되어야 전류가 잘 맞았다고 하니 용접시 키홀 생성 여부를
잘 살펴서 아크 온도를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전류 온도는 개개인별로 용접 자세, 스킬에 따라 다 다를 수
있으니 연습 시 본인의 전류 온도를 찾아내서 연습하셔야 합니다.
② 9T(두께가 9mm의 의미): 아래 보기(F:), 수직 보기(V:), 수평 보기(H:) 자세 Test, 시험시간 30분
- 1차 용접 온도(백 비드): 90도(+-2), 2차 용접 온도(앞면): 97도(+-2)
- 9T 아래 보기 용접 시, 백 비드 1회, 앞면 비드 2회 + 앞면비드 3회 등 총 6회를 실시해야 하므로 시간이 다소
많이 소요됩니다.
③ 절단 및 필립(9T): 아래 보기(F:), 수직 보기(V:), 수평 보기(H:) 자세 Test, 시험시간 60분
- 1차 용접 온도(앞면): 120도(+-5)
- 250mm 모재를 가스절단기로 절단하여 필릿용접하는데, 가접은(아래 참고) 모재 끝에서 12mm 떨어진 곳에
가접 하고, 세워놓은 모재 위치는 아래면의 한쪽면 끝에서 12.5mm 점에서 세워서 용접합니다.
2) 그 외 유용한 팁
▶ 시험 시, 모재 모서리 부분이 녹이 슬었을 수도 있어서, 용접 불량이 나올 수도 있으니, 갈아주셔야 합니다.
▶ Tip: 6T일 때는 모재와 모재 간격이 2.4mm이며, 9T일 때는 3.2mm입니다. 가접 시 둥그런 철사 휘어진 것을
끼워 넣고, 한쪽 먼저 가접 후 뺀 후 철사 끝 부분이 모재 간격에 들어가지 않도록 밀착한 후 나머지 한쪽면도
가접을 해야 일정한 간격이 나옵니다.
▶ 용접한 모재가 비드 및 용접부위가 잘 나왔으면 다음으로는 아래 사진과 같이 시험관이 양쪽 끝 1cm 및
중간 부분 1cm를 잘라낸 후 5천 kg 압력으로 용접한 부분이 끊어지는 것을 테스트해서 합격여부를 정합니다.
◑ 이 정도 휠 정도로 테스트를 한다고 하니 용접의 힘이 대단한 것 같네요.
쉽게 생각해서 용접을 시작하고 배우게 되었지만 또한, 얼마 용접을 배운 지 안 되었지만, 결국은 연습만이 살길이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습니다.
용접을 배우시는 모든 분들의 건투와 합격을 기원해 봅니다.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기 쉬운, 교차로 우회전 위반 여부 쉽게 이해하기 (0) | 2021.11.02 |
---|---|
고유가 시기에 자동차 유지비 줄이는 방법(자동차세 등) (0) | 2021.11.01 |
전주의 관문, 가을을 맞이하는 전주 고속버스터미널을 다녀보다. (2) | 2021.10.24 |
용접 기능사 자격증 취득 도전기 2 (0) | 2021.10.19 |
용접기능사 자격증 취득 도전기 1 (0) | 2021.10.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