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독거노인ㆍ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가.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확대 내용
■ 보건복지부는 독거노인이면 누구나 「독거노인·장애인 응급 안전안심서비스」 신청이 가능하도록 대상자 기준을 확대한다고 발표를 하였는데요. 확대되는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노인(독거, 노인 2인 및 조손 가구) 및 장애인 가정 내 화재, 응급호출 및 장시간 쓰러짐 등을 감지하고 신고하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장비를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 2023년은 약 24만 가구에 기기를 설치해, 냄비를 태우는 등 화재 사고를 119에 곧바로 신고하거나 화장실에서 쓰러진 어르신을 응급관리요원이 발견하는 등 총 15만 5천여 건의 응급상황을 신속하게 대응할 정도로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연로하신 부모님이 사시는 곳에서 홀로 지내시는 분들은 반드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나. 독거노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개요
■ 신청인 가정에 설치된 장비에서 감지한 응급상황을 119 및 응급관리요원에 연락해 신속한 구조․구급 지원 서비스
● 화재 감지: 댁내 화재 시 화재감지기가 감지해 119에 곧바로 신고
● 응급 호출: 화장실 또는 침실에 응급호출기를 설치해 응급상황 시 버튼을 누르거나 음성으로 간편하게 119 신고 가능
● 활동량 감지: 활동량 감지기 및 레이더센서로 움직임, 심박·호흡 등을 측정해, 쓰러지거나 의식을 잃은 경우 응급관리요원에 알려 안부 확인 서비스
★ 신청하시는 분의 가정에 응급호출기, 화재감지기, 출입감지기, 활동량 감지기 등을 설치해서 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다. 독거노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대상자
■ 노인: 65세 이상인 노인이 홀로 지내시거나 2인으로 구성된 가구 및 조손 가구 등 상시 보호가 필요한 가구
■ 장애인: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로 상시보호가 필요한 장애인
라. 독거노인ㆍ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신청방법
■ 읍ㆍ면ㆍ동 행정복지센터 및 지역센터에 본인 또는 대리인이 방문 또는 전화로 신청 가능
마. 독거노인ㆍ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문의처
■ 보건복지부 상담센터: ☎ 129
■ 중앙모니터링 센터: ☎ 1566-3232 → 7 → 1
위급할 때 부모안전
응급버튼 자녀안심
연로하신 부모님이 두 분만 계시거나 홀로 계시는 부모님 걱정을 많이들 되실 겁니다. 금년 4분기 중으로 누구나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다고 하니 신청하셔서 부모님께서 조금이나마 더 안심되었으면 합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 피 부양자 자격기준 &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부과기준(feat, 소득과 재산, 부부합산 여부) (1) | 2024.04.15 |
---|---|
국민연금 100만 원 이상 수령자 100만 명 시대 → 기초연금과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에 미치는 영향분석 (0) | 2024.04.11 |
[산림청] 임업인 자격기준, 임업후계자, 독림가, 신지식 농업인 혜택(a~z) (0) | 2024.04.08 |
[건강보험공단] 외국인 건강보험 무임승차 대폭 축소 → 입국 후 6개월 후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부여 (0) | 2024.04.06 |
[국민연금공단] 기초연금 수령액 53만원을 결정하는 소득종류와 범위(a~z) (0) | 2024.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