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국토교통부] 주택청약저축 금리 인상 (1.8% → 2.1%) 과 국민주택채권 매도시점 분석

by 자그담 2022. 11. 13.
반응형

많은 분들이 집 마련을 위해서나 자녀들의 집 마련을 위해서 주택청약저축에 가입해 있을 건데요. 22년은 최악의 금리인상의 해입니다. 미국발 금리인상으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외화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금리를 올렸고, 앞으로도 올릴 수밖에 없는데요.

 

다행스럽게도, 이에 따라 주택청약저축 금리도 만족스럽지 못하지만 인상이 확정되었습니다.

 

주택청약저축 금리인상 보도문
[주택청약저축 금리인상 보도문]

 

오늘은 이에 대해서 간략히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주택청약저축 금리 인상 내역

 

구분 주택청약저축 국민주택채권
금리 기존 1.8% 1.0%
인상안
(적용)
2.1% 일때
(22.11월)
1.3% 일때
(22.12월)
인상 효과

청약저축 납입액 1000만원일 때 국민주택채권 1000만원 즉시 매도시


이자 18만원




이자 21만원
(+3만원↑)


부담금 172만원



부담금 157만원
(-15만원↓)

※ 국민주택채권 상환기간은 5년으로 이기간 동안 보유시 적용이자율은 1.3%라는 의미임

 

 

[※ 참고: 주택청약저축]

 

● 주택청약저축 이란: 새로운 주택을 분양받기 위한 용도로 청약관련 예금으로 일정한 조건과 청약신청을 하기위한 자격을 갖추기 위한 제도

☞ 1인 1계좌만 개설 가능

 

▼▲

 

[※ 참고: 국민주택채권]

 

● 국민주택채권 이란: 정부가 국민주택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국민주택기금 부담으로 발행하는 채권

※ 제1종 국민주택채권 금리 추이: 12년(3.0%) → 13년(2.5%) → 14년(2.25%) → 15년(2.0%) → 16년(1.75%) → ~ 19년(1.50%) → 19년 이후(1.0%)

 

 

반응형

 

 

★ 우리가 자동차나 아파트를 살 때 법무사를 통해서 등기를 하면서 채권을(일종의 세금과 같음) 매입해서 대개 즉시 매도를 하게 되는데요.

 

가장 중요한 게 할인율입니다. 할인율에 따라서 채권을 매도 시 받는 돈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 참고: 국민주택채권 할인율 추이]

 

20년 11월 21년 11월 22년 11월
2%대 7%대 17%대

 

[※ 참고: 국민주택채권 할인율 조회]

 

 

♣ 할인율 조회 사이트: 주택도시 기금 http://nhuf.molit.go.kr/

 

 

금년에 금리가 아주 많이 인상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채권 할인율도 급격하게 높아졌는데요.

 

예를 들면,

1000만원 채권을 은행에 즉시 매도할 때 우리가 돌려받는 돈의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 1000만원의 국민주택채권을 즉시 매도시 ◀
구분 20년 11월 21년 11월 22년 11월
할인율 적용
2%대 7%대 17%대
돌려받는 돈
(채권매도시)
980만원 930만원 830만원

 

할인율에 따라 돌려받는 금액의 차이가 큽니다. 제1종 국민주택채권의 경우 상환기간이 5년 이므로, 올해같이 할인율이 높을 때는 좀 더 보유하고 있다가 할인율이 낮아지는 시점에 매도하는 것이 이익입니다.

(다만, 채권 보유 시 목돈이 묶이게 되는 부작용도 있네요)

 

 

※ 국민주택채권은 5년 만기보유 시 복리이자 비율로 적용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