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국민연금공단] 2025년 공적연금 변경 내용 6가지, 국민연금, 공무원 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인상

by 자그담 2025. 1. 13.
반응형

1. 2025년 공적연금 변경 내용 6가지, 국민연금, 공무원 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인상

 

    ① 노령연금 수급액 인상

 

        ■ 노령연금 수급자격은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사람이 수급개시 연령이 되었을 때 받을 수 있는 연금입니다

 

        ■ 2025년 노령연금 인상률 2.3%이며, 1월 25일 수급일자부터 인상된 금액으로 노령연금액이 지급됩니다. 노령연금 평균수급액 인상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2024년 평균 수급액
(2.3%↑)
2025년 평균 수급액
644,471원 669,523원

 

※ 참고로 2025년 노령연금 월 최고 수급액은 296만 원입니다

 

 

        ■ 이외 공적연금인 공무원 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 연금 등도 동일하게 2.3% 인상되어 1.25일부터 지급됩니다

 

 

    ② 기초연금액 인상

 

        ■ 2025년 기초연금 신규 신청 연령은 1960년생입니다. 신청시기는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전월 1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기초연금은 신청주의 원칙입니다. 해당 월에 신청하지 않으면 소급하여 지급하지 않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2025년 인상된 기초연금 지급액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구분 2024년   2025년
단독 가구 334,810원 + 7,700원 인상 342,510원
부부 가구 535,680원 +12,320원 인상 548,000원

 

        ■ 기초연금 수급액의 인상으로 국민연금 연계감액 금액도 늘어납니다. 2025년에는 국민연금 수령액이 513,760원 이상 수령 시 기초연금 수급액을 감액되는 기준으로 기초연금 수급액의 최대 50%(171,250원)까지 감액됩니다

 

 

    ③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인상

 

        ■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이란 기초연금 수급자 선정의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 기초연금 신청자의 소득 + 재산 - 부채를 소득인정액으로 산출하여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이하이면 기초연금을 수급할 수 있는 것입니다

 

반응형

 

        ■ 2025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구분 단독 가구 부부 가구
2023년 202만 원 323.2만 원
2024년 213만 원
(11만 원 , 5.2%↑)
340.8만 원
( 17.6만 원↑, 5.2%↑)
2025년 228만 원
( 15만 원 6.6%↑)
364.8만 원
( 24만 원 6.6%↑)

 

 

 

    ④ 기초연금 근로소득 기본 공제 인상

 

        ■ 기초연금 근로소득 공제 산식: (근로소득: 새전 - 112만 원) + 추가 공제 30%입니다

 

        ■ 예를 들면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 세전 근로소득이 200만 원이라고 할 때 근로소득 기본공제액을 제외한 소득인정액을 구해보면 (200만 원 - 112만 원) × 0.7 = 61.6만 원의 소득인정액이 산출됩니다

 

2024년 근로소득 기본공제 2025년 근로소득 기본공제
110만 원 112만 원

 

        ■ 다른 재산과 소득이 없다고 가정하면 근로소득만으로 기초연금 최대수급액인 342,510원을 수급하는 근로소득액은 3,888,000원이며, 기초연금 기준액의 최소 10%를 받기 위한 근로소득 분기점은 4,377,000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⑤ 자연적 소비금액 인정액 증가

 

        ■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 시 재산의 변동(일반재산, 금융재산 등) 2011.7.1일 이후 증여하거나 처분한 재산에서 타 재산 증가분, 본인소비분, 자연적 소비금액을 차감하고 남는 금액을 반영합니다

 

        ■ 2025년 자연적 소비금액은 단독가구 251.2만 원, 부부가구 기준 304.8만 원입니다. 예를 들면 자녀에게 증여한 1억 원이 기초연금 산정 시 본인의 재산에서 zero 되는 개월 수(자연적 소비금액)는 부부가구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100,000,000원 ÷ 3,040,800원 = 32.8개월이 지나야 기초연금 신청자의 재산 소득인정액이 zero가 됩니다

 

 

    ⑥ 기초연금 신규 신청대상자 변경

 

        ■ 2025년 기초연금 신규 신청연령은 1960년생입니다

 

        ■ 기초연금 신청 일자는 생일이 속한 달의 전월 1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장소는 가까운 읍면동 사무소 또는 국민연금 지사로 가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 기초연금 신청서류: 신분증, 통장사본, 임대차 계약서(임대차 시)이며 부부가구의 경우 신청자의 배우자의 금융정보제공 동의서를 준비하시면 됩니다 

 

    ※ 부부 중 한 사람이 먼저 기초연금을 신청하면 부부의 모든 재산과 소득, 부채를 소득인정액에 반영한다는 점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에는 기초연금 수급자를 선정하는 기준인 기초연금 선정금액이 6.6% 증가한 바, 기초연금 신청에서 탈락하였더라도 선정기준액이 변동되었기 때문에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