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국민연금공단] 2024년 기초연금 54만원 100% 받는 금융재산 관리 tip

by 자그담 2024. 2. 8.
반응형

1. 기초연금 수급자격

 

   가. 기초연금 수급 대상

 

    ★ 기초연금 수급자격은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대한민국 국적자(이중국적자 포함) 중 만 65세 이상 어르신들 중 소득하위 70% 이내에 드시는 분들에게 국가에서 연금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소득하위 70%이내에 드시더라도 최종적으로 소득 + 재산 - 부채를 소득인정액으로 산정한 값이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이하여야 기초연금을 최소 10% ~ 최대 100%까지 수급하실 수가 있습니다.

 

 

   나. 2024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구분 선정기준액
단독가구 213만 원
부부가구 340.8만 원

 

 

    ★ 산정된 소득인정액 값이 표 이하값이면 최대 단독가구 33.4만 원, 부부가구 53.5만 원의 기초연금을 수급하실 수가 있는 것입니다.

 

    ★ 주변에 보시면은 기초연금액을 100% 다 받으시는 분이 계시는 반면 최소금액인 3만 3천원만 받으시는 분도 계시는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유는 기초연금 신청자의 소득인정액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지지 때문이죠.

 

 

2. 기초연금 100% 받기위한 금융재산 관리 Tip

 

   가. 저축성 예금: 정기예금, 정기적금, 저축성 예금

 

      ■ 잔액 또는 총 납입액을 기준으로 금융재산에 포함

 

      ■ 이자소득

 

         ● 이자를 받는 달의 다음해 4월에 기초연금 금융재산에 반영

 

 

       ■ 요구불 예금

 

         ●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을 말하며, 보통예금 저축예금 등이 있음

 

         ● 기초연금 신청 전 3개월 평균잔액을 금융재산에 반영

 

 

       ■ 기타(증여) 재산

 

         ● 증여재산이나 자녀 결혼자금등은 기타(증여) 재산으로 기초연금 산정에 반영

 

         ● 2011년 7월 이후에 증여한 재산은 자연적소비금액(매월) 을 제외하고는 신청인의 금융재산에 포함

 

 

반응형

 

[※참고: 2024년 기초연금 자연적 소비금액 인정액]

 

구분 자연적 소비금액(월)
단독가구 235.7만 원
부부가구 286.4만 원

 

 

★ 예를 들어 부부가구 기준으로 자녀에게 1억 5천만 원을 증여했다면 

 

 

150,000,000원 ÷ 286.4만 원 = 52개월 소요

 

 

즉, 증여한 1억 5천만 원이 본인의 기초연금 금융재산에서 0원이 되기까지는 52(4년 4개월) 개월이 소요된다는 뜻입니다.

 

증여한 재산은 증여세 세금의 납부여부와 상관없이 매월 자연적 소비금액을 제외하고는 기초연금 신청자의 금융재산으로 그대로 반영된다는 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 보험

 

         ● 보험은 해지환급금 기준으로 기초연금 금융재산에 반영

 

         ● 자녀 앞으로 든 보험이 계약자는 기초연금 신청자 / 수익자는 자녀명의로 되어 있을 경우를 말함

 

 

       ■ 주식, 수익증권, 출자금

 

         ● 최종시세를 기준으로 금융재사에 반영

 

         ● 위 항목들에 대한 배당금은 해당년도가 아닌 다음해 4월에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에 반영

 

 ★ 명의대여를 통한 수익이나 배당금 발생 시 모두 신청자의 재산으로 반영된다는 점 잊지마시기 바랍니다.

 

 

 ★위와 같은 금융재산들이 어떻게, 얼마까지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에 반영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나. 기초연금 금융재산 소득인정액 산정

 

      ■ 금융재산 소득인정액 산출: 금융재산 합계 산출 → 금융재산 기본공제 2천만 원 차감 → 소득환산율 4% 곱하기 → 산출값을 12개월로 나눠주기

 

      ■ 예를 들어 금융재산이 1억 5천만 원 일때 소득인정액 값은 (150,000,000원 - 20,000,000원) × 4% ÷ 12개월 = 433,333원

 

      ■ 위와 같은 산식으로 계산해보면 2억 원은 600천 원, 3억 원은 933천 원, 4억 원은 1,266천 원의 소득인정액이 산출됩니다.

 

★ 여기서 중요한 점은 예적금에 대한 이자소득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출에 반영된다는 것입니다. 매월 이자소득 공제 4만 원을 제외한 금액이 그대로 반영된다는 점입니다.

 

 

기초연금 40만 원 시대는 우여곡절은 있을지라도(매년 물가인상율만큼만 인상되더라도) 2027년 경이면 40만원이 될 것입니다. 

 

각자의 처한 상황에 따라 재산의 포트폴리오도 다르겠지만 기초연금 신청에 대한 준비는 항상 미리 하셔야 한다는 점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