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서울시] 65세 이상 지하철 무료 교통카드 신청 및 발급방법

by 자그담 2024. 1. 17.
728x90

1. 서울시 노인 무료교통카드

 

   가. 서울시 우대용 교통카드

 

      ■ 서울시가 주관, 수도권 도시철도 무임승차 대상자가 이용하는 1회용 교통카드를 대신하여 발급되는 반영구적인 무임용 교통카드

 

 

   나. 서울시 우대용 교통카드 발급대상

 

      ■ 수도권 도시철도 무임승차 대상자(만 65세 이상 경로우대자, 장애인,유공자) 중 주민등록 기준 서울시에 거주하는 자에 한함

 

      ■ 단, 유공자는 수송시설 이용 지원 대상자(애국지사, 국가유공자, 5.18민주화운동 부상자)에 한함

 

 

   다. 서울시 65세 이상 교통카드 종류 및 신청장소

 

구분 교통카드 종류 신청 장소 비고
경로자 신용, 체크카드 신한은행 영업소 재발급시에는
대리발급 가능
단순무임카드 주민센터
장애인 신용, 체크카드
(장애인복지카드에 기능 추가)
주민센터 신규/재발급시
대리발급 가능
단순무임카드
유공자 신용, 체크카드
(유공자복지카드에 기능 추가)
관할 보훈(지)청 신규/재발급시
대리발급 가능

 

※ 신청시 지참물 : 신분증 지참, 장애인 및 유공자는 체크카드 신청시 통장(우체국 또는 신한은행) 사본 필요

 

서울시, 노인무료 교통카드
[서울시, 노인무료 교통카드]

 

 

 

2. 서울시 노인무료 교통카드 사용방법

 

   가. 서울시 65세 이상 교통카드 이용방법

 

      ■ 신용/체크카드는 발급 후 즉시 사용 가능하고, 단순무임카드는 약 3일 경과 후 사용 가능

 

      ■ 순무임카드는 오후 5시 이전에 발급관리시스템에 등록시 익일 새벽에 대중교통 단말기에 카드정보가 내려가므로, 대부분의 버스와 지하철은 익일부터 사용 가능

 

        ☞ 다만,  일부 마을버스들이 매일 차고지에 정차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 약 3일 후부터 사용 가능

 

      ■ 수도권 도시철도 승하차 게이트 단말기에 카드를 접촉하여 사용하며, 수도권 도시철도에서만 무임승차가 가능

 

      ■ 부정승차 방지를 위해 접촉 시 “삑삑”으로 일반카드 “삐”와 구분

 

      ■ 버스 승차 시 요금이 부과되며 신용카드는 후불 결제, 체크 및 단순무임카드는 T-money 충전 후 사용 가능

 

        ● 버스(유임)-지하철(무임)-버스(유임) 이용 시 환승할인 적용

 

      ■ 중증장애인의 경우, 장애인을 동반하고 있는 보호자 1인까지 사용 가능

 

     

   나. 무임 교통카드 문의처

 

      ■ 신용/체크카드 관련 문의 미 분실신고: 신한카드 상담센터 ☎ 1544-7000 /7200

 

      ■ 단순무임교통카드 문의 및 분실신고: 신한카드 상담센터 ☎ 1544-8000

 

      ■ T-money 문의: (주) 한국스마트카드 고객센터 ☎ 1644-0088

 

      ■ 기타 이용 문의: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 02-120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