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스요금 ㆍ난방비 절약하는 법
(도시가스 환급금)
코로나로 세계 경기는 둔화되는 반면에
우크라이나 전쟁과 환율인상으로 인해
유가 및 천연가스 요금은
무섭게 치솟고 있는 현실입니다.
최근 심심치 않게 도시가스 요금을 폭탄 맞았다는
언론보도를 접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도시가스 요금이 얼마나 올랐고, 신청만 하면
받을 수 있는
도시가스 환급금에 대한 말씀을 드려볼까 합니다.
1. 최근 도시가스 요금 인상 추이
가. 22년 가스요금 인상률: 전년대비 33.1%
`22.4월 | `22.5월 | `22.7월 | `22.10월 |
1.8%↑ | 8.4%↑ | 7.0%↑ | 15.9%↑ |
▼▲
나. 도시가스 요금 계산방법
용도 | 계산방법 | |
주 택 용 |
취사용 | ● [(사용열량 x 취사용 단가) + 기본요금 ] x 부가세 |
개별 난방 |
● [(사용열량 x 개별난방 단가) + 기본요금 ] x 부가세 |
|
주택용 외 기타 | ● [(사용열량 x 용도 단가) + 계량기관리 + 보정기 관리 ] x 부가세 |
※ 온압 보정계수: 기체의 부피량을 0℃ , 1 기압으로 보정한 계수
★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에너지 절감 및 탄소배출
절감을 위해 도시가스 사용량을 절감할 때 캐시백을
지급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2.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 도시가스 요금 환급
가. 개요
▶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제도 ◀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은 한국가스공사에서 전국민을 대상으로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로
전년도 사용량보다 7%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 |
나. 신청기간: 22. 12월 ~ 2023. 1월 (2개월)
다. 절약 기간: 22. 12월 ~ 2023.3월
☞ 2023.1 ~ 4월 고지서 발행분
라. 캐시백 지급 기준
- 전년 동기간 사용량 대비
구분 | 7% 절감 | 10% 절감 | 15% 절감 |
캐쉬백 지급단가 |
30원/㎥ | 50원/㎥ | 70원/㎥ |
마. 신청하는 곳 :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사이트 (k-gascashback.or.kr)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copyrighty(c) K-가스캐쉬백 all rights reserved
k-gascashback.or.kr
▼
- 회원가입 후 신청절차에 따라 신청하시면 됩니다.
▼
- 가스요금고지서 우측 상단 납입자 번호 입력
(8자리)
★ 저도 가입신청을 완료했네요.
▼
3. 난방비 절약하는 방법
가. 실내 적정온도: 18℃ ~ 20℃ 유지
☞ 20℃에서 1℃ 올릴 때마다 난방비 15% 증가
☞ 난방을 off 시켰다가 다시 on 한 경우 가스 소비량 급증
나. 보일러 외출 기능 활용 극대화
☞ 한파 기능 발령 시에는 15℃ 내외 설정이 유리
다. 적정 습도 맞추기: 40% ~ 60%
☞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적정한 습도 유지가 유리
라. 온수 온도는 중이나 약으로 설정이 유리
국제적으로 천연가스 요금이 지속적으로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가스요금을 절약하는 방법과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재원 고갈 → 건강보험료 대폭 인상 예상 (1) | 2022.12.14 |
---|---|
[보건복지부] 2023년 만 0세 ~ 만 1세 영유아 부모급여 지급액 (1) | 2022.12.13 |
[기획재정부] 2023년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공제액 상향 (0) | 2022.12.10 |
[보건복지부] 2023년 노인일자리 사업 모든 것 (a~z) (0) | 2022.12.08 |
[건보공단] 직장가입자도 급여 외 소득에 건강보험료 폭탄 (0) | 2022.1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