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의 문제일 뿐, 기초연금 40만 원 수급 시대가 서서히 열리고 있습니다. 부부가구로는 감액조건(국민연금 연계 감액, 부부가구 감액, 소득역전방지 감액)을 감안하더라도 매월 60만 원대 이상의 기초연금 수급이 예상되네요. 협의과정에서 감액조건들이 긍정적으로 조정된다면 기초연금 수급금액은 더 높아질 것으로 여겨집니다.
내 돈 한 푼 안 들이고, 매월 국민연금처럼 연금을 타는 기초연금 수령을 위해서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되겠지요?
오늘은 기초연금 40만 원 시대에, 기초연금 수급을 위한 모든 조건들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본 요건
- 국민연금 제외한 직역연금은 기초연금 수급 제외
- 기초생활수급자는?
- P값: 고급 자동차, 고급 회원권 보유 시: 100% 탈락
- 기초연금수급자 선정 위한 소득인정액 기준 부합
- 기초연금 신청방법 및 장소
1.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본 요건
가. 대한민국 국적 보유자
나. 대한민국 국내에 거주
다. 만 65세 이상인 자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른 나라 시민권 등을 보유하고 있는 이중국적자도 수급자격 인정
☞ 또한 해외 체류기간이 연속하여 60일 이상을 초과한 사람은 60일 초과 익월부터 기초연금 지급이 중단되며, 귀국한 익월부터 다시 지급 개시됨
2. 국민연금 제외한 직역연금은 기초연금 수급 제외
가. 직역연금 종류: 공무원 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 연금 등
☞ 몇 가지 기초연금 수급 예외조건이 있으나, 대상자는 극히 소수
나. 기초연금 문의처: 국민연금 관리공단 ☎ 1355번
3. 기초생활수급자는?
가. 기초연금은 기초생활수급자 소득인정액 100% 반영
나.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감액 가능성 ↑
♣ 기초연금 수급액만큼 생계급여 감액 가능하고
♣ 기초연금 → 기초생활 수급 선정 소득인정액 ↑ → 여러 가지 급여에서 탈락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사전에 행정복지센터에서 문의 후 신청하시는 게 바람직함
4. P값: 고급 자동차, 고급 회원권 보유 시: 100% 탈락
가. 고급자동차 기준
배기량 3000cc | 차량가액 4천만원 |
☞ 위 둘중 한가지라도 충족시 기초연금수급자에서 100% 탈락 (제세공과금 제외) ☞ 전기자동차는 차량가액만으로 판단(보조금 포함) |
나. 고급 회원권: 콘도, 승마, 요트, 골프 등 회원권
5. 기초연금수급자 선정 위한 소득인정액 기준 부합
가. 소득인정액 금액 기준
★ 소득인정액이 기초연금 수급자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 금액 이하여야 한다. (소득인정액 환산항목: 재산, 소득, 부채) |
|
단독가구 | 부부가구 |
180만원 이하 | 288만원 이하 |
307,500원 수령가능 | 492,000원 수령가능 |
나. 소득 ▷ 소득인정액 평가 산정
구분 | 내용 |
근로소득 | ○ 기본공제 103만원 + (공제 후 잔액에 추가공제 30%) |
사업소득 | ○ 업종별 필요경비 공제 |
연금소득 | ○ 100% 소득인정액 반영 |
이자소득 | ○ 4만원 기본공제 (월) |
임대소득 | ○ 필요경비 공제 - 점포 : 41.5% - 주택: 42.6% |
※ 무료 임차 소득: 자녀 소유 주택 거주 시, 시가표준 6억 이상인 경우 → 연 0.78% 소득 인정
다. 재산 ▷ 소득인정액 소득환산 평가 산정
구분 | 내용 |
일반재산 | ○ 대도시 ~ 농어촌 구분 공제 - 대도시(특별시, 특례시등) : 135백만원 공제 - 중소도시(도의 시) : 85백만원 공제 - 농어촌(도의 군): 7,250백만원 공제 |
금융재산 | ○ 기본공제 2천만원 |
대출 (금융권) |
○ 100% 공제 ☞ 개인간 대여금 제외 |
전세 보증금 |
○ 시가표준액의 50%까지 공제 |
[★ 이전 제 블로그 내용(참고): 소득인정액 계산식 등]
2022.08.28 -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 [국민연금관리공단] 기초연금 수급자격, 소득인정액 계산 등 기초연금 총 정리 (A ~ Z)
[국민연금관리공단] 기초연금 수급자격, 소득인정액 계산 등 기초연금 총 정리 (A ~ Z)
노인 복지 차원에서 국가에서 지급하는 기초연금 지급액은 역대 정부에서 20만 원에서 출발해서 25만 원, 30만 원까지 인상되었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자 수: 약 560만 명) 금년에는 기초연금 30만
jgdam.tistory.com
6. 기초연금 신청방법 및 장소
가. 신청 가능 범위: 본인 또는 배우자, 자녀, 형제자매, 친족 등이 대리 신청 가능
나. 기초연금 신청장소
♣ 주소지 관할 읍ㆍ면ㆍ동 주민센터
♣ 주소지 관계없이 국민연금공단 지사 및 센터
♣ 정부 사이트 복지로를 통한 온라인 신청 가능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 유통기한 표시 → 소비기한 표시제로 변경 (23.1.1일자 시행) (0) | 2022.11.09 |
---|---|
개인형 연금저축 IRP 와 연금저축 비교 분석 (A ~ Z) (0) | 2022.11.08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료부과 금융소득기준 대폭 하향, 이자ㆍ배당소득 336만원 초과시 건보료 부과 추진 (0) | 2022.11.05 |
[국민체육진흥공단] 2023년 스포츠강좌 이용권 지원금액, 신청기간 등 (A ~ Z) (0) | 2022.11.03 |
[국민연금관리공단] 기초연금 40만원 시대에 가장 주의해야 할 사항 (0) | 2022.10.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