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초연금 수급자격 위한 주의사항 (feat, 자녀)
매년 기초연금을 수령을 위한 환경이 조금씩 변합니다.
더군다나 금년 기초연금 지급액이 307,500원에서
23년 기초연금 지급액은 321,900원으로
확실히 되고
현 정부 임기 내에는 기초연금 40만 원 시대가
열릴적으로 확정적으로 보이는데요.
그만큼 기초연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간과하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잘 받던 기초연금이 중단되거나 또는 금액이 감액되거나
심할 경우, 기초연금을 자격이 됨에도 불구하고
아예 못 받는 경우도 발생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기초연금 수급과 자녀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말씀을 드릴까 합니다.
1. 자동차를 자녀와 공동명의 시 영향
★ 미치는 영향 : 기초연금 수급자 탈락에 영향 미침 ☞ 차량 3000CC or 차량가액 4천만원 이상시 기초연금 수급자에서 탈락 ★ 미치는 사유: 지분율에 관계없이 무조건 부모재산으로 귀속되기때문임 |
▼
구분 | 소득인정액 환산액 |
차량가액 1천만원 | 33,333원 = 1천만원 x 4% /12개월 |
차량가액 3천만원 | 10만원 = 3천만원 x 4% /12개월 |
차량가액 4천만원 | 기초연금 수급자 탈락 |
▼▼▼
[※ 2022년 소득인정액]
단독가구 | 부부가구 |
180만원 | 288만원 |
2. 자녀를 수익자로 한 보험계약 시 영향
보험계약자 | 보험 수익자 | 미치는 영향 |
기초연금 수급자 |
기초연금 수급 |
기초연금 수급자의 금융재산으로 산정 |
기초연금 수급자 |
자녀 | 기초연금 수급자의 금융재산으로 산정 |
기초연금 수급자 → 자녀를 보험계약자로 전환시 |
- | 기초연금 수급자의 증여재산으로 산정 → 자연적 소비금액만큼 본인재산에서 차감 |
※ 자연적 소비금액: 생활에 필요한 생활비로 인정되는 금액, 기준 중위소득 50% 수준으로 결정. `23년에는 단독가구 220여만 원, 부부가구는 270만 원 정도 예상
반응형
3. 자녀에게 사업자 명의를 대여한 경우 영향
★ 미치는 영향 : 부모명의로 자녀가 사업에서 벌어들이는 사업소득은 100% 부모 사업소득의 산 ☞ 월 사업소득 150만원 발생 → 소득인정액 150만원 100% 인정 |
4. 자네에게 현금을 차용 시 미치는 영향
★ 미치는 영향 : 자녀에게 현금을 빌리는 경우, 부채로 인정받지 못함 ☞ 단, 법원의 판결 또는 조정에 의한 경우는 부채로 인정 |
5. 자녀명의의 집에 주거하는 경우 영향
★ 미치는 영향 : 자녀 명의의 주택에 주거(주소지 등록) 하는 경우 임차소득으로 반영 (부부중 한사람이라도) ☞ 무료 임차소득 산정 공시지가: 6억원 이상 주택 |
▼
[공시지가에 따른 무료임차소득 산정액]
구분 | 6억 | 7억 | 8억 | 9 |
무료임차소득 산정액 (월) |
39만원 | 46만원 | 52만원 | 59만원 |
6. 자녀에게 주택을 임대해주는 경우 영향
★ 미치는 영향 : 자녀 또는 그 배우자 (형제자매 및 그 배우자 포함)에게 주택을 임대 해주는 경우에 임대보증금은 부채로 인정받지 못함 ♣ 임차보증금 1억: 소득인정액 333천원 감소효과 (제 3자에게 임대해줄 경우) |
7. 자녀에게 현금 또는 재산 증여 시 영향
★ 미치는 영향 : 본인의 재산에서 바로 차감되지 않고 기초연금 수급대상자의 본인소비분과 자연적소비금액을 차감한 금액은 수급자 본인의 재산으로 산정됨 ♣ 본인소비해당 항목: 본인 또는 배우자의 의료비, 장례비, 혼례비, 노인장기요양 이용금액, 교육비, 위자료, 양육비 등 ♣ 자연적 소비금액(22년 기준) : 단독가구(2,097천원), 부부가구 (2,560천원) ☞ 1억원 자연소비기간(부부가구 기준): 39개월 (1억 / 2,560천원 = 39개월) |
수급대상자 본인의 각자의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각자의 상황에 따라 유불리를 잘 판단하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새로운 노력,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복지부]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위한 기본재산공제액 상향 (0) | 2022.12.29 |
---|---|
[큐넷] 2023년 지게차, 굴삭기 기능사 시험 일정 및 신청절차 안내 (0) | 2022.12.27 |
2023년 기초연금 수급 위한 주의사항 및 미 포함 소득은 (0) | 2022.12.22 |
[기획재정부] 2023년 바뀌는 부동산제도 등 종합 (a ~ z) (0) | 2022.12.21 |
[국민연금관리공단] 국민연금 개혁, 더 내고 덜 받기로 될 것인가? (0) | 2022.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