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퇴직연금 IRP3 [연금공단] 연금저축, IRP계좌에서 연금수령 방법(feat, 6가지 수령방법) 1. 연금 개시와 연금 수령방법 가. 연금 수령방법 한도분할식정액식기간 분할식○ 매년 계산되는 연금 수령한도만큼 수령 ○ 원하는 수령금액 (세전금액/새후금액) 을 지정, 운용성과에 따라 수령기간이 변경 ○ 원하는 수령기간을 지정, 운용성과에 따라 수령금액이 변경연금수령한도=평가액 ÷ (11-1) × 120%예: 세전 월 100만 원 수령 지정예: 수령기간 10년, 11년 등 지정 한도 분할식(연간금액 일정)기간 분할식(연간금액 변동)임의식○ 매년 초 평가금액을 잔여회차로 나누어 연간 수령금액을 일정하게 함○ 매 회차 지급시점 평가금액을 잔여회차로 나누어 수령○ 필요할 때 자유롭게 수령하는 방식매년 초(1.1일자) 평가금액 / N매월 평가금 / N인출 나. 연금계좌 자동매도 순서 결정방법 .. 2024. 9. 9. [연금공단] 퇴직금을 IRP계좌로 이체 시 종합과세 여부 1. 퇴직금 및 퇴직연금 종류 가. 퇴직금 제도 퇴직금 제도DB형DC형법정 퇴직금확정 급여형확정 기여형퇴직 직전 3개월 평균급여 × 근속연수회사 기여금 + 운용수익※ 일시금으로 받으면 퇴직소득세 100% 과세▼퇴직금을 IRP로 이전하여 연금으로 수령하면 퇴직소득세 일부 감면 나. 퇴직금 → IRP 계좌 이전 시 장점 ■ 퇴직금을 연금으로 수령 가능 ■ 퇴직소득세 절세 효과 발생(연금 개시 후 인출 연도 수) ● 인출 10년까지:이연 퇴직소득세 30% 절감 ● 인출 11년부터:이연 퇴직소득세 40% 절감 ★ 만일에 퇴직금을 IRP로 이전 후 일시금으로 수령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소득원천소득세 과세퇴직 급여퇴직소득세 100% 과세.. 2024. 8. 27. [연금공단] 연금저축 vs. IRP 차이점 및 장단점 비교 1. 연금저축 및 IRP 계좌 가. 연금저축 vs. irp 공통적 특징 ■ 세액공제 혜택 ● 연간최대 납인한도 1,800만 원(연금저축 + IRP) ● 1년간 연금저축 + IRP 합산하여 세액공제 적용 및 산정 총 급여액 (종소세) 납입형태별 세액공제 한도 합계 세액공제율 연금저축 + IRP 둘다 납입 IRP만 납입 5,500만 원 이하 (4500만 원 이하) 600만 원 300만 원 900만 원 900만 원 16.5% 5,500만 원 초과 (4500만 원 초과) 13.2% ■ 과세이연 효과 ● 납입시점에 과세를 하는 게 아닌 연금수령 시기까지 과세를 미뤄주는 제도임. ■ 연금 수령 시 저율 과세 적용 대상 ● 55세 이상 연금수령 시점에 낮은 세율로 연금소득세 부과 수령 나이 연금소득세 저율과세 (연간.. 2023. 12.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