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기초연금 국민연금연계감액3

국민연금 개혁, 건강보험료 개혁, 기초연금과의 문제에 대하여 민간자문위원회에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 개혁방향이 최근에 제시가 되었는데요. 개혁의 큰 흐름은 국민연금 재원의 소진을 늦추고 몇 년 안에 고갈 위기에 있는 건강보험료의 적자를 줄이기 위한 대책이 핵심인듯해 보입니다.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방향이 처음으로 제시되었다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서 말씀드릴까 합니다. 1. 국민연금 개혁방향 가. 핵심 개혁 방안 국민연금 개혁 제시안 국민연금 보험요율 인상 지급연령 연장 현행 9% → 단계적으로 15%까지 현행 65세 → 67세 ~ 68세 나.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률 방안(4가지) 인상 폭 (2025년 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15% 도달시점 ▶ 기금 고갈 시기 (예상) ① 연 0.5%씩 12년간 ● 2036년 2073년 ② 3년마다 1%.. 2023. 1. 7.
[국민연금공단]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의 모든 것 (a~z)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 2023년 기초연금 지급액 및 기초연금 재산, 소득, 부채에 대한 모든 것 (a~z) 2023년 기초연금이 22년에 비해서 약 5% 인상되었고 (23년 기초연금지급액: 321,950원) 기초연금 수급대상자를 선정하는 선정기준액( = 소득인정액)은 약 12% 인상되었습니다. 기초연금의 중요성은 백번, 천 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앞으로 몇 년간 최대 이슈가 될 국민연금 개혁, 건강보험 재원 고갈위기 등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기 때문입니다. 즉, 기초연금은 ★ 의료보험 피부양자 자격여부 산정 ★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산정 미반영 ★ 그리고, 기초연금 40만 원 시대가 도래할 때는 부부가구 기준으로 최대 매월 64만 원 수령과 ★ 매년 기초연금이 물가인상률만큼 인상되.. 2023. 1. 3.
[국민연금관리공단] 2023년 기초연금 국민연금연계감액 (a~z) 2023년 기초연금 국민연금연계감액 2023년 기초연금지급액이 단독가구 321,950원 부부가구 515,1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또한, 2023년 기초연금 수급자 선정을 위한 2023년 소득인정액 선정기준금액이 단독가구는 202만 원 부부가구는 323.2만 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더 많은 분들이 기초연금 수급대상자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오늘은 기초연금 지급액이 인상됨에 따라 국민연금연계감액 금액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3년 기초연금 수급대상 기준 구분 지급 기준 비고 나이 만 65세 ~ 대한민국 국적자 소득기준 소득하위 70% ▼ ▼ ▼ ▶ 2023년 기초연금 지급액 및 소득인정액 ◀ 가구 구분 단독가구 부부가구 ▼▼▼ `23년 기초연금액 321,950원 515.. 2023. 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