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민연금 종합소득세3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수령 시 세금 부과 → 노령연금 과세 제외대상 1. 국민연금 과세 여부 가. 국민연금 과세: 노령연금 수급 시 연금소득세 부과 ■ 노령연금 수령 시 세금을 내는 이유: 국민연금 납입 시 세금을 내지 않았기 때문임.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노령연금 수령 시 세금을 내지 않으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이런 분들은 어떤 경우에 노령연금 수급 시 세금을 내지 않을까요? ■ 연금 소득공제: 납입한 보험료에 대한 세금을 환급해 주는 제도 ▼ ★ 그래서 연금을 수령 시 납입할 때 내지 않았던 세금이 부과되는데요. 이를 과세이연이라 합니다. 즉, 과세를 넘겨서(과세이연) 한다는 의미입니다. 나. 국민연금 수령자 중 비과세 대상 ■ 대상: 국민연금 납입 중에 세금공제를 못 받으시는 국민연금 수령자 ▼ ★ 한마디로 말해서 국민연금을 납입할 때 .. 2023. 9. 20.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세금과 국민연금이 건강보험료에 미치는 영향 1. 국민연금 세금 가. 국민연금 세금 부과 여부 ■ 국민연금은 납부 시 공제를 받기 때문에(예: 연말정산) 세금을 안 낸 것으로 판단 ■ 따라서, 노령연금 수령 시 세금이 부과되는 구조입니다. 나. 국민연금 과세기간(소득공제 적용기간) 구분 1988년 ~ 2001년 국민연금 납부액 2002년 이후 국민연금 납부액 소득공제 여부 Ⅹ O 과세 여부 Ⅹ O ★ 즉, 국민연금이 시작된 1988년부터 2001년까지는 국민연금 소득공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당연히 소득세를 냈다는 말이죠. 그래서 이 기간에 대한 국민연금납부액에 대해서는 소득세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다만 2002년부터 국민연금 소득공제가 시작되었습니다. 따라서, 2002년 이후 납부한 국민연금액은 노령연금 수령 시 소득세를 납부하게 되는 것입니다. .. 2023. 6. 19.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종합과세 여부 및 소득공제내역 1. 국민연금 과세 여부 가. 국민연금 과세 ■ 국민연금 납부 시 납부액은 소득공제 가능 → 실제 노령연금 수령 시 세금납부 ■ 국민연금 소득공제는 2002년부터 개시. 따라서 2001년 이전 국민연금 납부 분에 대해서는 노령연금 수령 시 비과세 됩니다. ★ 한마디로 말해서 국민연금 납부 시 소득공제를 받으면 노령연금 수령 시에 과세된다는 의미입니다. 국민연금 종류별 과세여부 노령연금 수령시 과세기준 과세 `88년~`01년 납부액 `01년 이후 납부액 노령연금 O 소득공제 X O 장애연금 X 과세 X O 유족연금 X ▼ ★ 그러면, 노령연금 수령 시 과세가 기본적으로 되는데요. 다른 소득과 합쳐서 종합과세 대상이 될까요? 국민연금은 원칙적으로는 종합과세 대상에 포함되는 소득항목입니다. 2. 국민연금 종합.. 2023. 4.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