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4

[국민연금공단] 기초연금 P값 있으면 소득 & 재산 없어도 기초연금 수급자 탈락 2023년 기초연금액 인상이(5.1% 증가) 확정되어 지난 1.25일부터 적용되어 지급되었습니다. 기초연금 수급대상자에서 탈락하는 요인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소득과 재산(일반재산 & 금융재산)이 많아서 탈락하는 경우도 많지만 의외인 경우에서 탈락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 의외의 변수가 기초연금 수급대상자가 P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1. 2023년 기초연금 지표 가. 2023년 기초연금액 구분 `22년 기초연금 ▶ +15,680원 + 25,080원 `23년 기초연금 단독가구 307,500원 323,180원 부부가구 492,000원 517,080원 ※ 부부가구 기준: 기초연금 3대 감액제도 중 부부가구 감액만(각각 20%) 적용 나. 2023년 소득인정액 산정식 [ (일반재산 - 지역별 공제.. 2023. 2. 1.
[국민연금공단]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시 제외되는 금융소득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시 소득인정액 산정항목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불리하게 작용하는게 금융재산입니다. 상대적으로 공제액이 적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시 금융재산에서 제외되는 것들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의 금융재산이란? 가. 금융재산의 종류 현금 or 수표 어음, 주식, 국공채 등 유가증 에금, 적금, 부금 및 수익증권 나. 금융재산 조사방법 및 시기 구분 내용 조사자료 출처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인 [행복 e음의 금융정보 자료] 조사 대상자 부부 한명이 먼저 신청 → 부부모두의 재산 조사 다. 기초연금 금융재산 조사범위 & 산정기준 구분 내용 산정 기준 요구불 예금 보통예금, 저축예금, 자유저축예금 ☞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3개월 평균잔액 저축성.. 2023. 2. 1.
[국민연금공단] 2023년 기초연금액 및 기초연금 금융재산 소득인정액 산정 (a~z) 2023년 기초연금 지급액이 323,180원으로 확정되었는데요. 오늘은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을 산정할 때 공제되는 금액이 적어서 가장 불리한 금융재산. 즉, 현금, 예금, 주택, 보험 같은 재산들이 기초연금 산정 시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떤 기준으로 조사해서 반영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재산의 소득환산평가는 항목마다 기준과 계산방식이 조금씩 다릅니다. 지금부터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3년 기초연금 지급 가. 단독가구 기초연금 지급액 `22년 지급액 `23년 지급액 307,500원 323,180원 인상액 +15,680원 나. 부부가구 기초연금 지급액 `22년 지급액 `23년 지급액 492,000원 517,080원 인상액 +25,080원 ※ 부부가구 지급액 기준: 부부.. 2023. 1. 24.
[보건복지부]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단독가구 202만원, 부부가구 323만원 확정 2023년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기준 단독가구 202만원, 부부가구 323만원 확정 2023년 기초연금 지급대상자 선정기준액 2023년 기준연금액 및 2023년 소득인정액 산정기준이 고시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분들이 새롭게 기초연금을 수급대상자로 포함될 가능성이 더욱더 높아졌는데요. 새롭게 기초연금 수급대상자가 되시는 분들이나 기존에 기초연금을 신청해서 탈락된 분들은 반드시 기초연금 수급대상 신청을 하시길 권유합니다. 오늘은 늘어난 2023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 내역에 대해서 말씀드리고 나아가, 반드시 기초연금을 재 신청해야 되는 사유에 대해서 다시 한번 말씀을 드립니다. 1. 2023년 소득인정액 산정기준액 변경 가. 기초연금 수급대상 선정기준액이란 ♣ 기초연금 수급여부를 결정하는 기준금액.. 2022. 12.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