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증여 이월과세2 [국세청] 재산 증여 및 양도소득세 절약 tip 1. 재산 증여 가. 2023년 재산증여 불리해진 점 ■ 2023년부터 부동산증여가 강화되었는데요. 기존 이월과세기간이 5년에서 10년으로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즉, 기존에는 부동산을 증여한 후 5년이 지나서 매각을 하면 증여자가 취득한 한 시점의 부동산취득가액을 기준으로 양도세를 산정했는데요. ■ 물론 증여받은 부동산을 10년 동안 팔지 못한다는 의미는 아니고요. 다만, 증여받은 지 10년 이전에 매각 시, 증여하신 분의 부동산 취득가액으로 양도세를 산출하기 때문에 증여로 인한 절세효과가 사라졌다는 의미입니다. ■ 그런데, 부동산을 증여받은 후 매각해도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이것에 대해서 오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재산 양도세 계산 가. 부동산 양도세 계산 구조식 산술기호 양도가액 .. 2023. 4. 29. [기획재정부] 2023년 바뀌는 부동산제도 등 종합 (a ~ z) 2023년 변경되는 부동산제도 및 생활밀착형 제도 기획재정부에서 2023년 주요 경제 정책 방향에 대해서 발표를 하였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 우리의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사항 위주로 말씀을 드려볼까 합니다. ■ 2023년 바뀌는 부동산 제도 ★ 적용시기: 관련 법률이 국회통과 시 23.1.1일 자 적용이나 통과여부에 따라 적용시기 달라질 수 있음 1. 다주택자 취득세 완화 구분 현행 (변경 전) ▶ `23년 (변경 후) 1주택 1%~3% 1%~3% 2주택 8% 1%~3% 3주택 조정 지역 12% 6% 비조정지역 8% 4% 법인 & 4주택이상 12% 6% 분양아파트 임대등록 취득세 감면 ● 60㎡: 면제 ● 60㎡ ~ 85㎡ : 50% 감면 ☞ 취득가액 3억이하(수도권 6억) ※ 법률 개정 필요.. 2022. 12.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