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중위소득2

[보건복지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대폭 인상 → 수혜자 수 증가 1. 2025년 기준중위소득    가. 기준 중위소득이란       ■ 중위소득이란 대한민국 모든 가구 소득 금액의 중간값 의미. 모든 가구의 소득을 큰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한 소득. 즉, 중간값이라고 합니다.        ■ 중간값 도입취지는 평균 값하고 다른 의미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일 대한민국 인구의 소득평균값을 내면 고소득자로 인하여 평균값은 올라가는 폐단을 막기 위해서 중간값 개념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 그리고, 이러한 중위소득에 소득증가율을 반영해 산정하는 게 "기준 중위소득"이라고 하고,       ■ 이런 중위소득 값은 기초생활보장제도 및 각종 복지사업에서 기준으로 삼고 대상자를 선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ㅌ025년 기준 중위소.. 2024. 10. 8.
[보건복지부] 23년 기준 중위소득 확정 → 5.47% 인상 보건복지부 산하 중앙생활보장위원회는 23년 기준 중위소득금액을 확정, 발표를 하였습니다. 4인 가구 기준으로 22년 512만 원에서 5.47% 인상된 540만 원으로 결정되었는데요. 오늘은 기준 중위소득이란 무엇이고 어떠한 복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지 A ~ Z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기준 중위소득이란 23년 기준 중위소득액 급여별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 수준 1. 기준 중위소득이란 가. 개념) 통계청이 공표하는 통계자료의 가구 경상소득의 중간값에 치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 가구 규모에 따른 소득 수준의 차이 등을 반영하여 가구 규모별로 산정하는 값 나. 활용) 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별 선정기준 및 최저 보장 수준 ※ 국민기초생할보장제도 ※ ♣ 목적: 생활이 어려운 사람에게 필요한.. 2022. 7.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