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주택임대소득4 [국세청] 주택 임대소득에 대한 건강보험료 부과여부 1.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부과 가. 주택임대소득 발생 시 건강보험료에 미치는 영향 ■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을 하고 과세표준(필요경비 공제) 후 소득이 발생할 때 국세청에서 건강보험공단으로 자료가 넘어갑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주택임대사업자의 주택임대소득은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가 부과됩니다. ■ 건강보험 지역가입자는 재산(60등급) 은 과세표준 금액(일괄 공제 5천만 원) + 소득(사업, 근로소득, 기타 소득, 공적연금 50% 반영 등) + 자동차 등을 합산하여 건강보험료가 부과 ▼ [※ 참고) 의료보험 피부양자 자격조건과 탈락 사유] ● 의료보험 피부양자자격 소득요건(2천만 원 이하) -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 소득의 합계액 ● 의료보험 피부양자.. 2023. 5. 25. [국세청] 주택 임대소득 분리과세 or 종합과세 선택이 미치는 영향분석 1. 주택임대소득 과세 가. 주택임대소득 분리과세 vs. 종합과세 ■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과세는 2천만 원을 기준으로 분리과세와 종합과세 여부가 결정됩니다. [※ 주택임대수입금액에 따른 분리과세, 종합과세 기준] 주택임대수입금액 2,000만원 이하 2,000만원 초과 소득세 신고방법 분리과세 or 종합과세 선택 가능 종합과세 ※ 월세, 보증금에 간주임대료, 관리비등이 포함되어 임대수입금액이 결정되고 이 금액 기준에 따라 신고방법이 달라짐. [※ 보증금 간주임대료 계산식] (보증금 - 3억 원)의 적수 × 60% × (1/365) × 정기예금 이자율(`23.5월 신고 기준 1.2%) 나. 주택임대소득 분리과세ㆍ종합과세 적용 기준 구분 분리과세 종합과세 임대수입금액 ○ 2,000만원 이하 ☞ 월세, 간주임대.. 2023. 5. 13. [국세청] 주택 임대소득 분리과세 or 종합과세 여부 및 간주임대료 계산 1. 주택 임대소득 세금 가. 주택임대소득 과세여부 ■ 세법이 개정되어 주택임대소득도 과세대상이 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주택 보유 수 기준으로 월세는 2 주택, 전세는 3 주택 이상이면(보증금 간주임대료 산정) 소득세 신고대상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나. 주택임대소득 분리과세 vs. 종합과세 대상 여부 [※ 분리과세 vs. 종합과세 비교] 구분 신고방법 세율 분리과세 다른소득 (금융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등) 합산하지 않고 주택임대소득만을 가지고 세금을 계산하는 방식 14% (단일 세율) 종합과세 주택임대소득과 다른 소득 (금융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등) 을 합산하여 세금을 계산하는 방식 6% ~ 45% (8단계 누진세율) ※ 지방세 별도 ▼ ★ 그러면, 주택임대소득 금액에 따른 종합소득세 신고.. 2023. 5. 6. 임대소득 발생시 종합소득세에 미치는 영향 2019년도부터 연간 2천만 원 이하의 주택임대 소득에 대해서도 종합소득세 과세대상에 포함되어 오고 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 블로그 포스팅을 하면서 여러 가지 주제를 다루는데 그 주제들의 방향은 아무래도 은퇴가 가까워서인지 몰라도 기초연금, 주택연금, 국민연금,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등 은퇴 후에 닥쳐올 것들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쓰게 되는 건 아닌지 라는 생각이 문득 들어지네요. 오늘의 주제도 은퇴 후의 일어날지도 모를 저의 삶의 한 부분일 수도 있기에 공부도 할 겸 관련 주제를 다뤄볼까 합니다. 부족하더라도 이해 바랍니다. ■ 목차 임대소득 과세 적용 임대소득 세금신고대상 여부 임대소득 보수에 따른 세금 수준은? 1. 임대소득 과세 적용 가. 과세 적용년도 2019년.. 2022. 6.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