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월세신고제2 [국세청] 주택 임대소득 과세여부 (a~z) 1. 주택임대소득 세금 가. 주택 임대소득 ■ 주택과 관련된 세법이나 관련 규정이 수시로 바뀌고 있어서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거나 잘못 아셔서 손해를 보는 경우가 종 발생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 주택 임대소득 비과세 → 과세로 세법 개정 ■ 오늘은 주택 전세나 월세 소득에 대한 가장 최근 적용되는 세금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나. 주택 임대소득 과세 대상 주택수 월세(임대료) 간주임대료 (보증금, 전세금) 1주택 보유 비과세 ☞ 단, 고가주택 과세 비과세 2주택 보유 과세 3주택 보유 과세 과세 ※ 고가 주택: 주택 공시가격 9억 원 (2023년부터 12억 원으로 기준 상향) 초과 주택 ☞ 단, 23년 종합소득세 신고분은 22년 과세기준이므로 공시지가 9억 초과 주택 적용됨을 유의 .. 2023. 5. 6. [국토교통부] 전월세 신고 사각지대 관리비 꼼수 인상 억제 방안 자가주택이 아닌 전세나 월세로 아파트, 다세대, 다가구, 원룸 등에 공동주택에 거주하게 되면은 필연적으로 임대료와 관리비를 부과받고 납부하게 되는데요. 절세 목적이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임대료와 관리비가 비슷하거나 오히려 관리비가 많은 경우가 발생한다는 뉴스를 접하곤 하는데요. 아래 사례에 보다시피, 월세는 20만 원인데, 관리비는 월세의 두배인 41만 원으로 결론은 월세가 61만 원이란 의미인데, 이런 꼼수를 쓰고 있다는 국토부 보도문 발표 사례입니다. 최근,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비 정상적인 관리비 부과 꼼수를 예방하는 대책을 발표를 했습니다. ★ 이런 꼼수가 나오게 된 배경은 알다시피, 전월세 신고제 때문인데요. 법의 허점을 교묘하게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럼 간단하게 전월세 신고.. 2022. 11.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