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임대소득 신고1 [국세청] 주택 임대소득에 대한 건강보험료 부과여부 1.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부과 가. 주택임대소득 발생 시 건강보험료에 미치는 영향 ■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을 하고 과세표준(필요경비 공제) 후 소득이 발생할 때 국세청에서 건강보험공단으로 자료가 넘어갑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주택임대사업자의 주택임대소득은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가 부과됩니다. ■ 건강보험 지역가입자는 재산(60등급) 은 과세표준 금액(일괄 공제 5천만 원) + 소득(사업, 근로소득, 기타 소득, 공적연금 50% 반영 등) + 자동차 등을 합산하여 건강보험료가 부과 ▼ [※ 참고) 의료보험 피부양자 자격조건과 탈락 사유] ● 의료보험 피부양자자격 소득요건(2천만 원 이하) -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 소득의 합계액 ● 의료보험 피부양자.. 2023. 5.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