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부동산 증여2

[국세청] 재산 증여 및 양도소득세 절약 tip 1. 재산 증여 가. 2023년 재산증여 불리해진 점 ■ 2023년부터 부동산증여가 강화되었는데요. 기존 이월과세기간이 5년에서 10년으로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즉, 기존에는 부동산을 증여한 후 5년이 지나서 매각을 하면 증여자가 취득한 한 시점의 부동산취득가액을 기준으로 양도세를 산정했는데요. ■ 물론 증여받은 부동산을 10년 동안 팔지 못한다는 의미는 아니고요. 다만, 증여받은 지 10년 이전에 매각 시, 증여하신 분의 부동산 취득가액으로 양도세를 산출하기 때문에 증여로 인한 절세효과가 사라졌다는 의미입니다. ■ 그런데, 부동산을 증여받은 후 매각해도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이것에 대해서 오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재산 양도세 계산 가. 부동산 양도세 계산 구조식 산술기호 양도가액 .. 2023. 4. 29.
부동산증여 취득세 과세표준 기준 변경이 미치는 영향(시가표준액 → 시가인정액) 올해 부동산에 대한 관련 규제나 세금에 대한 부분이 변경되었거나 예정인데요. 너무나 많은 것들이 또 과거와 다르게 변했기 때문에 관련 전문가들도 헷갈리는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주택을 증여로 취득했을 때 세금의 부과기준이 있는데요. 22년까지는 과세표준 기준을 공시지가 기준으로 했었는데요. 그 기준이 2023년도는 바뀐다는 내용과 바뀌는 결과로 인한 영향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부동산 증여 과세표준 기준 변경내역 가. 2023년 부동산 증여 과세표준과 취득세 구분 2022년 증여 2023년 이후 증여 과세표준 기준 시가표준액 (주택 공시가격) ▶ 시가인정액 ○ 공동주택공시가격 ○ 개별주택공시가격 ● 해당 부동산: 매매가액, 감정가액 등 ● 유사부동산: 매매사례가액 취득세율 .. 2023.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