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결혼자금 증여세 공제2 [국세청] 가족간 증여세 비과세 한도 정리(feat, 자녀, 부부, 형제 등) ★ 증여세는 얼마나 증여받았냐? 누구로부터 받았냐에 따라 비과세를 적용받을 방법이 있습니다. 오늘은 가족 간 증여세 비과세에 기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 가족 간 증여세 비과세 기준 가. 직계존비속(부모, 자녀) 증여 시 ■ 부모가 성인 자녀에게 증여한 증맥은 5천만 원까지 비과세 적용됩니다. ☞ 단, 만 19세 미만의 미성년자는 2천만 원까지 세금 없이 증여받을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자녀가 부모에게 증여하는 것도 5천만 원까지 비과세 됩니다. ■ 조부모가 손자/손녀에게 증여할 경우를 알아보겠습니다. ● 성인 손자녀: 5천만 원 / 미성년 손자녀는 2천만 원까지 비과세 대상입니다. ■ 비과세 갱.. 2024. 11. 17. [기획재정부] 자녀 결혼자금 공제 → 혼인공제 1억까지 증여세 비과세 1. 자녀 결혼자금 공제 가. 2023년 세법 개정 발표: 2023.7.27일, 기획재정부 ■ 경제활력 제고, 민생경제 회복, 미래대비, 납세편의 및 행정제고 등을 주제로 7.27일 기획재정부에서 2023년 세법개정안을 발표하였습니다. ★ 오늘은 세법 개정(안) 내용 중 혼인 증여재산 공제 신설에 대한 소식을 알려 드립니다. 나. 결혼자금 증여세 공제(혼인공제) [※ 결혼자금 증여 공제] 구분 현행 개정(안) 배우자 6억 원 좌동 직계존속 → 직계비속 5천만 원 (미성년자 2천만 원) 5천만 원 (미성년자 2천만 원) + 혼인공제 1억원(신설) 직계비속 → 직계존속 5천만 원 좌동 기타 친족 1천만 원 좌동 ▼ ★ 즉, 부모가 자녀에게 혼인신고일 전ㆍ후 2년 이내에 1억 5천만 원을 증여하는 경우를 현행.. 2023. 7. 27. 이전 1 다음 반응형